HOME > 헬스 > 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미국 기술수출 이중항체, 중국 권리이전" 에이비엘바이오(298380)는 미국 트리거 테라퓨틱스에 기술이전한 'ABL001(TR009/NOV1501)'의 일부 권리가 중국 면역항암 전문기업 엘피사이언스에 기술이전 됐다고 22일 밝혔다. ABL001은 이중항체로는 최초로 국내 임상에 진입한 후보물질로, VEGF와 DLL4를 이중으로 타깃함으로써 암조직 내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하여 암을 사멸시키는 작용기전을 갖는다. 현재 국내에...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 백신 생산에서 유통까지 맡았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코로나19 백신의 국내 유통관리 체계 구축을 담당하는 용역업체로 선정됐다. 21일 조달청에 따르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질병관리청이 의뢰한 코로나19 백신 국내 유통관리 체계 구축·운영 공고를 통해 사업자로 선정됐다. 투찰률은 100%였으며, 사업 배정예산은 510억원, 사업금액은 508억원이다. 이번 계약은 경쟁입찰이 아닌 수의계약(임의로 상대를 ... 안지오랩, 페오놀 사용 관련 미국 특허 취득 #안지오랩은 '혈관신생 억제 또는 방사선민감도 향상을 위한 페오놀 사용'에 관한 미국 특허를 취득했다고 21일 밝혔다.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취득한 본 특허는 혈관신생 억제 효능이 있는 페오놀을 활용하여 다양한 암에 사용되고 있는 방사선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고 부작용을 줄이는 방사선 민감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혈관신생 억제제는 암조직의 혈관을 정상화시키고 관류... 인트론바이오, VRE 질환 치료제 카테터 투여 제형 확보 인트론바이오(048530)는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을 포함한 장알균 감염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EFL200 신약에 대해 카테터 투여 제형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EFL200의 카테터 투여 제형은 카테터의 삽입으로 발생한 요로감염(UTI) 치료를 주요 대상으로 개발됐다. 인트론바이오는 앞서 경구투여형 제형을 확보한 데 이어 이에 이번에 개발한 카테터 투여 제형으로 ... 바이오니아, 분자진단 플랫폼 기술 특허권 취득 바이오니아(064550)는 핵산추출과 유전자 증폭을 동시에 전자동으로 30분 내에 신속·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현장(POC) 분자진단 플랫폼 기술의 국내 특허권을 취득했다고 20일 공시했다. 분자진단의 핵심인 유전자 증폭(PCR) 기술은 특정 유전자를 반복적으로 증폭함으로써 약 10개 이하의 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검출할 수 있는 고감도 분석기술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 지아이이노베이션, 루닛과 차세대 혁신신약 공동연구 MOU 체결 지아이이노베이션은 의료 인공지능(AI) 헬스케어 기업 루닛과 차세대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및 학술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지아이이노베이션의 이중융합단백질 플랫폼 '지아이스마트(GI-SMART™)', 이중융합항체 플랫폼 '스마트 탭(SMAR-TabTM)'과 루닛의 인공지능(AI) 기반 조직 분석 시스템 '루닛 스코프(Lunit SCOPE)'를 활... 식약처, 메디톡스 '이노톡스' 품목허가 취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메디톡스(086900)의 이노톡스주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품목허가 및 변경허가를 받아 약사법을 위반함에 따라 오는 26일자로 허가를 취소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노톡스는 주름 개선에 사용되는 보툴리눔 제제다. 식약처는 메디톡스가 의약품 품목허가 및 변경허가를 하는 과정에서 안정성 시험 자료를 위조한 사실을 검찰수사 결과에 따라 확인,... 바이오니아, 올리고 연구소장에 김병현 포항공대 명예교수 영입 바이오니아(064550)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분야 권위자인 포항공대 김병현 명예교수를 올리고 연구소장에 영입했다고 18일 밝혔다. 김병현 연구소장은 국내외에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손꼽힌다. 서울대 화학과 출신으로 미국 피츠버그대학에서 박사학위(유기화학 전공)를 취득했고,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또 전 세계 ... (CEO동향)존림 삼성바이오 대표, 글로벌 종합 바이오 기업 정조준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신임 대표이사 사장이 위탁생산개발(CDMO) 글로벌 1위를 넘어 글로벌 종합 바이오기업으로의 도약을 정조준한다. 지난 10년이 사업 안정화와 생산 규모 확대에 무게가 실렸다면, 향후 10년 다각화된 사업 확장을 통한 글로벌 종합 바이오기업으로의 변모 기간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은 미국 스탠포드 대학 화학공학 석사와 ... 펩트론, 전립선암 치료제 식약처 IND 승인 펩트론(087010)은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 치료제 'PT105'의 생동성시험(BE)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고 15일 밝혔다. 펩트론은 오는 3월 임상을 개시해 9월까지 완료하는 일정으로 PT105의 임상개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후 신약 허가신청(NDA)을 제출하고 2022년 하반기에는 시장에 출시한다는 목표다. PT105는 펩트론의 독자적 약... 셀트리온,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임상 3상 본격화 셀트리온(068270)은 암젠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성분명: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CT-P41'의 임상 3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했다고 14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8월 CT-P41 임상 1상에 착수해 임상을 진행 중이며, 이번 임상 3상은 총 5개국 416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24년 상반기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3상 임상을 통... 신테카바이오, 한미사이언스와 코로나19 치료제 임상개발 협력 신테카바이오(226330)는 한미약품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와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개발 협력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물재창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신테카바이오는 지난 9월 한미사이언스와 코로나19 약물재창출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를 이어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신테카바이오가 자... 대웅제약,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업 허가 취득 대웅제약(069620)이 정부허가를 받아 첨단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대웅제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허가는 첨단바이오의약품 관련사업을 하려는 기업들이 확보해야 할 첫 번째 조건으로 꼽힌다.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첨생법)'에 따르면 ... 삼성바이오, '글로벌 종합 바이오 기업' 도약 선언…"백신 등 사업 다각화"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가 세계 최대 헬스케어 투자 행사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를 통해 글로벌 종합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 포부를 밝혔다. 생산규모를 비롯해 사업 포트폴리오, 글로벌 거점 등을 동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5년 연속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의 ‘메인 트랙’에서 발표하고 있다.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이 매년 여는 이 행사는 11~14... SK케미칼, 테고사이언스 '칼로덤' 공동 프로모션 SK케미칼(285130)이 세포치료제 전문 기업인 테고사이언스(191420)와 화상 및 당뇨성 족부궤양(당뇨발) 세포치료제 '칼로덤' 판매 사업에 협력키로 했다. 14일 SK케미칼은 다음 달 1일부터 테고사이언스의 칼로덤의 국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종합병원 마케팅 및 영업에 대한 공동 프로모션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K케미칼은 칼로덤의 공동 프로모션을 통해 당뇨 합병증 ... 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