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평화의 섬 제주에서 바티칸까지-44)삶과 죽음이 뒤엉겨 흐르는 강 갠지스
2023-02-16 06:00:00 2023-02-17 17:06:25
콜카타를 떠난 지 21일 만에 갠지스 강을 건넜습니다. 왠지 모르지만 아련한 마음의 고향에 긴 세월 방랑하다 돌아온 느낌입니다. 이 강물은 생과 사의 사이를 흐릅니다. 만일 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생과 사의 강을 건너서 지금 내가 여기에 서 있을까요? 저 멀리 아름드리 고목 밑의 공터에서 노는 어린아이들에게서 먼 추억이 만납니다. 강렬한 꿈을 꾸고, 뼈저리게 실패하고, 부정하며 방황합니다 결국 제자리로 돌아오고야 마는 인간의 오랜 운명을 되새겨 본다. 장작불에 타다만 죽은 자의 발 하나가 정처 없이 강물 위를 걸어가는 착시현상이 납니다.
 
꿈꾸는 활기찬 삶과 꿈마저 꿀 수 없는 견디고 버티는 피할 수 없는 삶을 바라나시로 오는 길에 수없이 보았습니다.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변합니다고 말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BC 2000년경 아리아인들이 이 땅에 정착해 살던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을 삶입니다. 오히려 그때의 움막보다도 못한 찢어진 비닐 움막에서 길 위를 먼지를 일으키며 달리는 외제차를 바라보는 그들의 시선이 왜 무표정 할 수밖에 없는지를 헤아려봅니다. 더 가질 것도 바랄 것도 더 버릴 것도 없는 무력감. ‘무력감과 좌절감의 예방하는 방법은 잃어버리기 전에 한발 앞서 포기하고 폐기하는 것이리라.’
 
아무리 평화를 향한 여정이지만 그 유명한 바라나시까지 와서 속살을 안 들여다보고 호기심과 궁금증을 짊어지고 가기엔 마음이 무거울 것 같아 녹야원과 강가나트는 둘러보고 가면 마음이 훨씬 가벼워질 것 같았습니다. 그에 앞서서 환전과 머리를 깎아야 했습니다. 그런데 인도에는 관광객들이 많아 환전이 쉬울 줄 알았습니다. 웬만한 도시에는 환전할 만한 곳이 없었습니다. 환전하느라 반나절이 다 가고 말았습니다. 
 
급히 강가나트 쪽으로 발길을 옮겨 보았으나 사람과 사람이 엉키고 그 위에 락샤와 툭툭과 자동차가 엉킨데다가 소와 염소와 개들까지 엉킵니다. 개는 가랑이 사이를 빠져나가고 락셔와 툭툭과 자동차는 살갗을 스치며 지나갑니다. 툭툭 운전수는 “인디언 헬리콥터 툭툭을 타고가라며 바뿐 내 발걸음을 잡아 세웁니다. 강가나트로 향하는 순례객들의 행진은 마치 하메른의 피리소리에 따라 강가로 몰려가는 쥐 떼들의 행진 같이 끝이 없습니다.
 
파도에 떠밀려서 강가나트 입구까지는 왔는데 안으로 들어가려면 휴대폰은 맡기고 들어가랍니다. 고인이 저세상으로 가는 것을 카메라에 담으면 저세상에 가지 못하고 카메라에 갇혀버린다는 것입니다. 담 넘어 저쪽에는 시신을 불태우는 장작불이 성스럽게 타오르고 있습니다. 저 시신도 한때는 불꽃같은 정염에 휩싸인 적이 있으리라! 불꽃을 바라보며 보이는 불꽃보다 보이지 않는 불꽃인 기도에 마음을 태웁니다.
 
시간도 많이 지체되고 절차도 번거롭고 하여 바라나시의 속살을 들여다보는 것은 포기하고 포기할 수 없는 평화의 여정만 계속하기로 하였습니다. ‘무력감과 좌절감의 예방하는 방법은 잃어버리기 전에 한발 앞서 포기하고 폐기하는 것이리라.’ 
 
그동안 인도의 거친 벌판을 혼자서 유모차에 의지하여 달려왔는데 현대 자동차가 산타페를 지원하고 인도한인회가 운전기사와 경비를 지원하여 어제 바라나시에서 만났습니다. 덕분에 바라나시의 속살을 살짝이나마 구경하려는 계획은 여지없이 산산조각 났습니다. 발걸음을 돌려 운전기사가 있는 주차장으로 향했으나 BC 2000년부터 이어져 오던 도시의 좁은 미로와 같은 골목길을 찾는 건 애당초 불가능해 보였습니다. 구글맵도 벵글벵글 돌기는 마찬가지니 내 기억력만 탓할 일은 아니었습니다.
 
갠지스 강은 어머니 강이라고 불릴 만큼 인도인들에게 성스러운 강입니다. 바라나시는 3,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힌두교 최대의 성지이며, 동시에 예로부터 시바 신의 성스러운 도시이며 인도 문화의 중심지입니다. 인도인들은 갠지스 강에서 몸을 씻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그곳에서 인도인의 처음부터 끝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죽은 사람을 태워 뼛가루를 추린 다음 강물에 뿌리기도 합니다. 힌두교인들은 그것이 대단한 축복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그 강물에서  죄를 씻어 내기 위해 목욕을 하고, 그 물을 마시며 갠지스 강의 축복을 기원합니다.
 
힌두교는 신석기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인도인들의 신앙에서, 또 신화에서 그리고 결혼과 장례 같은 중요한 의식에 다 녹아 있습니다. 교리도 다양하기 때문에 힌두교에서는 자기들과 다르다고 싸우지도 미워하지도 않습니다. 한마디로 힌두교는 인도 사회에서 오랜 역사를 두고 만들어진 인도인들의 생각과 철학을 담은 삶의 방식인 셈입니다.
 
삶과 죽음이 뒤엉겨 흐르는 강 갠지스. 죽음을 삶의 끝이자 또 다른 삶의 출발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는 삶과 죽음의 경계가 중요할 리가 없습니다. “목숨은 태어날 때부터 죽음의 기저귀를 차고 나온다.”고 했습니다. 이질적인 문화가 섞여 하나의 독특한 문화가 존재하는 곳이다. 그래서 문화적 충격에 자주 휩싸입니다. 이런 상황들이 발생할 때 혹여 당황할 지라도 놀라지 말 것이며 오히려 미로를 스릴있게 빠져나가 듯 즐길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는 자만이 인도의 여행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인도 여정 동안 팔이 여러 개가 있는 신이 어떤 팔을 내밀 지는 자못 흥미진진합니다.
 
그 옛날 혜초 선배가 녹야원이 있는 피라날사국 (현 바라나시)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힌두교의 성지로 자리를 굳히고 있었습니다. 중천축국 불교는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고 북천축국과 남천축국의 불교는 아직 세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가 이곳에 왔을 때 힌두교도들이 온몸에 재를 바르고 시바 신에게 경배하고 있었습니다. 
 
“태어난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은 늙고 병들고 죽는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단 말인가? 나도 이대로 늙고 병들고 죽는 것인가?”
 
싯다르타는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는 길을 찾아야겠다.’는 엉뚱한  생각을 하고 따뜻하고 안락한 왕궁을 떠나 고행의 수행 길을 나섰습니다. 그는 고행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숲으로 찾아가 보리수 아래에서 6년 동안 수행하여 마침내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태어나면 반드시 나이 들고 병들고 죽게 된다. 그러나 누구나 그것을 받아들이고 자비로 서로 돕고 살면 마음의 평화가 깃든다.’ 결국 싯다르타가 얻은 깨달음이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삶이 켜켜이 녹아있는 문화도 마찬가지입니다. 나와 달라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또 받아들이려고 노력하는 것. 그런 마음을 가지면 모든 것이 포용되고 아름다워 보이는 법입니다.
 
강명구 평화마라토너가 평화달리기 129일째인 지난 6일 인도의 주민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강명구 평화마라토너)
 
강명구 평화마라토너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주 사회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