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트럼프발 무역전쟁에 기름값도 '흔들린다'
송유관 비용 상승, 세계 경기 위축 등 불확실성 확대
2018-03-11 10:00:00 2018-03-11 16:49:38
[뉴스토마토 양지윤 기자] 미국이 지난 8일(현지시간) 한국산을 포함한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고율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하기로 함에 따라 세계 석유 시장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수입산 철강에 관세 25%를 부과하면 송유관 인프라 구축 비용이 늘어나 유류비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럽연합(EU), 중국 등이 미국을 상대로 보복에 나서 자칫 무역전쟁으로 번지면 경기위축에 따른 석유제품 수요가 감소하는 등 나비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11일 에너지투자은행 튜더 피커링 홀트에 따르면 송유관용 파이프라인 1마일(약 1.6㎞)을 만드는 데 드는 생산비용은 200만~600만달러다. 이 가운데 원자재인 철강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15~20%다. 미국이 수입산 철강에 25%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면 파이프라인 제조 비용이 3~5% 늘어날 것으로 튜더 피커링 홀트 측은 분석했다.
 
지난 2013년 '셰일혁명' 이후 중동과 세계 석유시장의 패권을 놓고 자웅을 겨루던 미국 에너지 업계는 돌발변수에 잔뜩 긴장하고 있다. 이번 결정으로 석유제품 가격은 물론 수요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송유관에 쓰이는 철강제품은 주로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데, 관세가 부과되면 에너지 업체들의 투자비 부담을 키울 수 있다. 이를 유류비로 전가하면, 미국 국민의 경제적 부담도 덩달아 늘어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이 뿐만이 아니다. 석유제품의 수요 위축을 불러올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EU와 중국이 미국에 보복관세를 부과하는 '무역전쟁'으로 확대될 경우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세계 경제와 교역량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석유제품 소비는 경기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만큼 일각에서는 유가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문제는 미국발 셰일혁명 이후 저유가 기조와는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에너지 업계는 저유가 상황에서도 석유제품 수요 증가로 수익성을 낼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이를 기대하기 어려워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향후 석유시장 전망은 부정적 시각이 우세하다. 블룸버그는 중국이 무역보복에 나서면 위험에 노출될 분야 10곳 가운데 석유·가스업계를 포함시켰다. 런던에 있는 PVM원유협회의 스티븐 브랜녹 애널리스트는 최근 미국 현지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세계경제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원유 수요가 꺾일 수 있다"며 "무역전쟁은 유가 하락을 유발하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반대로 석유시장이 입을 피해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에너지 분야 대표 국제기구인 국제에너지기구(IEA)의 파티 비롤 총재는 "현재 미국 텍사스주에서 송유관을 비롯한 인프라 건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며 "반덤핑 관세로 이 계획에 변동이 있겠지만 석유 시장에는 변화를 주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지윤 기자 galileo@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