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설자리 좁아진 '공모펀드', 수익률 부진부터 극복해야
공모펀드 규제 완화해야…수익률 부진에 경쟁력 잃어
2019-05-22 06:00:00 2019-05-22 06:00:00
[뉴스토마토 신송희 기자] 공모펀드 시장이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찾지 못하고 있는 사이 소수만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사모펀드는 수조원의 자금을 빨아들이며 몸집을 키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대로라면 일반 대중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펀드 시장의 설자리가 좁아질 수 있다며 공모펀드 활성화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사모펀드의 수탁고(설정원본)는 2014년 173조133억원에서 다음해인 2015년 바로 200조원을 돌파했다. 해마다 사모펀드에 유입되는 자금이 늘면서 작년 말 기준으로 수탁고는 333조2194억원으로 늘었다. 반면 공모펀드 수탁고는 지난 2014년 204조265억원에서 2018년 217조7785억원으로 불과 13조원 늘었다.
 
지난해 펀드시장에서 공모와 사모의 구성 비중은 각각 39%, 60%씩을 차지했다. 2014년에는 공모(54%)가 사모(46%)보다 비중이 컸지만 2016년 역전된 이후로 격차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공모펀드가 되살아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익률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현재 국내 전체 주식형 펀드의 1년 평균 수익률은 -17%다. 해외주식형 펀드 역시 마이너스 수익률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투자자들도 결국 수익률로 평가하는데 지금의 공모펀드 수익률로는 투자자에게 전혀 매력적이지 않다”며 “공모펀드 활성화의 키포인트는 투자성과인 만큼 가시화된 숫자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뾰족한 수가 보이지 않는다. 공모펀드는 사모펀드에 비해 투자에 제약이 많다. 다수의 자금을 모으는 공모펀드의 특성상 무리한 운용을 할 수 없도록 규제를 강화해서다. 투자 한도를 묶어둔 ‘10% 룰’이 대표적이다. 공모펀드가 펀드설정액 총액의 10% 이상을 한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금지돼 있다.
 
공모펀드와 사모펀드의 투자형태도 상이하다. 작년 기준으로 사모펀드가 채권(74조9072억원), 부동산(73조2174억원), 특별자산(67조6986억원) 등 다양한 자산에 다각도로 투자하는 것과는 달리, 공모펀드는 단기금융(69만5431억원), 주식(76만6884억원)에 쏠려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사모펀드는 공격적인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모펀드 대비 수익률이 높게 나오는 게 현실”이라며 “이같은 상황에서는 좋은 딜(Deal)이 사모펀드에 집중되는 악숙환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최근 개인투자자도 사모펀드에 투자할 수 있도록 투자자 수를 현행 ‘49인 이하’에서 ‘100인 이하’로 늘리고 전문투자자 요건을 낮추는 방안을 만들었다.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와 거액자산가들이 사모펀드 투자를 통해 자산을 불리는 동안 개인 투자자가 소외받고 있는 만큼 개인의 투자 폭을 넓히겠다는 의미다.
 
자본시장 관계자는 “사모펀드의 진입장벽을 낮추면서 개인도 사모펀드에 투자할 수 있는 경로를 열어놨다”며 “그럼에도 사모펀드의 특성상 개인이 진입하기는 어려운 만큼 공모펀드 활성화가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신송희 기자 shw101@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