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나볏

freenb@etomato.com

뉴스토마토 김나볏입니다.
이상직 중진공 이사장 "P-CBO 도입 추진…일자리 기업 속도감 있게 지원"

"기재부·금융위 상대로 설득 중…글로벌 히든 챔피언 적극 지원 계획"

2018-04-22 07:20

조회수 : 3,218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전주=뉴스토마토 김나볏 기자] 이상직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사장은 "일자리창출 기업에 우선 지원하겠다"며 "속도감만큼은 제대로인 것을 증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중진공이 무게를 실을 구체적 정책으로는 P-CBO(Primary 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s) 도입과 목동 혁신성장 밸리 구축 등을 언급했다.
 
이상직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사장이 20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임소감과 기관운영 방향 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중진공
 
20일 전주 완산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상직 이사장은 "중소기업에 희망을, 벤처에 날개를, 청년에 일자리와 꿈을 주도록 노력하는 게 사명이라 확고히 생각한다. 샐러리맨, 노조간부, 기업육성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벤처기업, 특히 청년들에게 도움 주고자 한다"며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특히 이 이사장은 "스타트업, 창업기업 지원도 당연히 해야겠지만 지금 중점적으로 보는 기업은 10~40년 된 글로벌 히든챔피언이 될 수 있는 기업들"이라며 "10년, 20년, 40년을 한 중소기업도 혁신기업으로 탈바꿈시키면 거기서 일자리가 70% 나온다고 본다. 일자리가 제일 중요하고, 자금도 일자리 창출기업 우선으로 가야한다. 일자리 만들고 있는 회사들은 적자든 흑자든 성장 가능성 있다는 걸 기업하는 사람들이 제일 잘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체적 지원 방법으로 이 이사장은 글로벌 히든 챔피언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기업들을 위한 P-CBO 발행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P-CBO는 신규발행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하는 자산담보부증권으로, 신용도가 낮아 회사채를 직접 발행하기 어려운 기업의 회사채 신규 발행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00년 김대중 정권 당시 도입된 바 있다.
 
이 이사장은 "벤처 버블 이후 연착륙을 위해 이미 시도된 바 있는 제도"라며 "네이버, 다음, 인터파크, 안철수바이러스, 옥션 같은 기업들이 성장해 재벌 생태계를 그나마 바꾸게 한 것이 이 P-CBO"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10~15% 정도 마중물 자금만 대면 나머지는 시중 자금으로 충당한다는 계획으로, "정부가 복합금융인 BW, CB를 발행하면서 후순위 리스크를 감당하기만 하면 재정지출 대비 최대 20~30배의 승수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게 이 이사장의 생각이다. 특히 3년짜리 단기로 발행시 7년 단위로 회수하는 기존 재정지원보다 부담이 적다고 강조했다.
 
이 이사장은 "(P-CBO를 해야 하는 당위성에 대해) 기재부와 금융위에 설득하고 있다"며 "아직은 시각에 대한 차이가 있긴 하다"고 말했다. 이어 "기재부와 금융위가 재정부실을 우려하고 있지만 사실 이건 헷지상품이다. 리스크는 10~15% 정도이고, 실제 과거 중진공이 CBO를 발행했었을 때 손실은 10% 미만이었다"고 말했다. 복합금융의 주체가 중진공이어야 하는 이유로는 기업들에 대한 정보력을 들었다. 중진공의 경우 기술보증기금이나 신용보증기금과 달리  중소기업, 글로벌CEO 등에 대한 빅데이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혁신성장 할 수 있는 기업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기에 유리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이 이사장은 해외 혁신성장 밸리 진출 및 국내 혁신성장 밸리 마련에도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 이사장은 "해외 혁신성장 밸리에 현재 중진공이 진출하고 있지 않은데, 새로 진출해 혁신성장 비즈니스인큐베이터(BI)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내에 대해선 "상징적인 공간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유통센터가 위치하고 있는 목동에 4만평 정도의 유수지가 있는데 보강공사를 하면 이곳에 혁신성장 밸리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에 생길 예정인 창업사관학교, 현재 서초동에 위치한 중진공 산하 한국벤처투자 모태펀드, 신대방동에 있는 중소기업연구원, 공영홈쇼핑을 위한 스튜디오 등 흩어져 있는 기관 혹은 필요한 공간을 한 곳으로 모으면 교육, 창업, 재기가 이뤄지는 혁신성장 밸리가 자연스레 만들어질 것이라는 계산이다. 이 이사장은 "이 혁신성장 밸리를 유럽처럼 컨테이너박스로 디자인해 하나하나가 창업공간이 되도록 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밖에 중진공 명칭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으로 바꾸겠다는 기존 계획과 관련, "홍익표 의원이 대표 발의한 상태고 이달 말 경 정식으로 법안소위에 올라갈 예정이며 이견이 없을 것"이며 "본회의는 국회 상황에 따라 열리겠지만 아무튼 발빠르게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GM 사태 이후 신음하고 있는 전북지역을 둘러본 소감에 대해선 "감히 노사나 정부 정책을 말할 입장은 아니"라면서도 "만약 협상이 결렬됐을 때 차선택이 필요하면 자동차부품협회나 배터리를 만드는 중소기업들이 중진공의 수요층이기 때문에 중진공이 큰 역할을 하게끔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호주 지엠이 떠난 사례를 언급하며, "필요시 대기업과 컨소시엄을 꾸려 자율주행차, 전기차 등 차세대 자동차의 생산기지, R&D기지로 탈바꿈하는 식의 돌파구를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나볏 기자 freenb@etomato.com
 
  • 김나볏

뉴스토마토 김나볏입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