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채명석

(배 이야기)대체수요 4%·성장수요 3.6% 시장에 영업 집중

(4) 조선영업 (나)

2019-01-01 22:21

조회수 : 2,175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수요 공급의 일반적 척도로 선박의 수명은 대개 20년 정도를 잡고 있었으나, 2006년 발효된 선체구조에 관한 일반 규칙(CSR, Common Structural Rules)에 의해 25년으로 연장되었다. 이에 선체의 부식, 선체 피로강도 및 모든 기계의 마모에 대한 내구연한을 25년 기준으로 설정한다. 돌발변수가 없는 한 선박은 25년이 지나면 해체하여 고철로 처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에 따라 단순 계산하면 선박의 연간 대체 수요는 매년 총 선복량(한 국가 또는 항로 등 특정 범위를 정하여 산출한 선복(ship’s space)의 총량, 즉 적재능력)의 4% 정도에 달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계 선복량을 7억GT(총톤수)로 보면 이론적으로 매년 약 2800만GT가 대체된다고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해운시장이 호황인 경우에는 대체시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선박을 운항하는 경우가 있고, 불황일 때에는 수명이 다하기 전에 선박을 해체장으로 보낼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대체 물량은 조선소가 기본적인 신조 수요를 예측하는 데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치 정도로만 사용한다.
 
한편, 1998~2008년의 10년 동안 물동량은 57억톤에서 81억톤으로 약 42% 증가해 연평균 3.6%씩 물동량(물자가 이동하는 양)이 증가했다. 이 물동량의 증가를 선박 신조 수요와 직결시켜 보면, 세계 선복량 7억톤의 3.6%인 2940만GT의 신조 수요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연차적인 선박 대체 수요 4%와 합하면 매년 7.6%의 수요가 발생한다. 최근의 경제 변동이 지속된다면 단기적으로는 매년 5740만GT의 신조 수요를 예상할 수 있다.
 
 
지난해 12월28일 오후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아래)와 감만부두 야적장에 선박에 수출 제품을 저장한 컨테이너가 높게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이 수치와 전 세계 연간 건조량을 살펴보면, 2000년대에 연간 3000만톤의 선박이 건도되던 것이 점차 증가해 2006년에는 연 5000만GT를 전후한 신조선이 건조됐다. 또한 2007년부터 건조량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해 2009년에는 7500만GT 수준까지 이르렀다. 2007~2009년 기간 동안 선사들의 선박 과수요로 선복량이 급증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한편, 세계 선복량은 사상 최악의 조선해운 불황기라고 일컬어지는 1982~1986년 사이 약간 감소했을 뿐 이후에는 꾸준히 증가했다. 1987~2002년 기간에는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갔다. 1987년 3억5000만GT로부터 2002년 5억8000만GT까지 증가, 연평균 1600만GT가 늘어났고, 이 기간 연간 평균 선복량 4억6500만GT로 나누면 연간 3.5% 정도 증가했다. 이는 전체 데이터를 토대로 산출한 연평균 물동량 증가량 추산치 4.2%와 비교하면 약간 저조했다. 그만큼 세계 선박해운시장이 1982~1986년 동안 극심한 침체를 벗어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002~2006년의 시장은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이 기간 선복량은 5억6000만GT로부터 7억2000만GT로 증가해 연 평균 6000만GT가 팽창했다. 그 기간의 평균 선복량 6억5000만GT와 비교하면 9% 넘게 증가했다. 이는 중국, 인도 등 경제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지역으로 향하는 철광석, 석탄, 원유 등 물동량 증가와 그에 대한 기대 수요를 반영한 수치로서 역사상 가장 빠른 증가속도이다. 한편 해체장으로 가야 할 노후 선박들이 시장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는 것도 반영하고 있다. 결국 선주는 이러한 세계 선복량의 증가세를 예측하여 그들의 선대 교체 및 증감 계획을 세우게 된다.
(자료: ‘조선기술’, 대한조선학회,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진중공업, STX조선해양, 성동조선해양)
 
  • 채명석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