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강명연

자동차시장 급변에 대응, 선제투자로 경쟁력 확보

친환경차 국내보급 넘어 수출기지화…자율차 상용화 인프라 구축

2019-10-15 16:00

조회수 : 2,801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강명연 기자] 정부는 급변하는 미래차 시장 환경을 고려해 산업구조 전환과 개방형 생태계 조성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기존 자동차산업 지원책이 부품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에 방점이 찍혔던 것과 비교하면 진일보한 대목이다. 특히 2030년까지 친환경차 비중 33% 확대, 2027년 세계 최초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 등 정부가 제시한 신시장 선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보다 한 발 앞서 제도적 기반을 다져놓겠다는 목표다.
 
2030년 미래차 글로벌 시장 전망. 자료/산업통상자원부
 
15일 정부가 발표한 미래차산업 발전전략은 기존 자동차산업의 구조 변화 가속화에 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존 산업의 경계가 무너지고 인공지능(AI), 센서, 빅데이터 등 차세대 기술과의 결합으로 전통제조에 머물러 있던 자동차산업이 모빌리티융복합산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민간분야 외에 선제적 인프라와 제도 구축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우선 친환경차 분야에서는 세계시장 선점을 통한 수출기지화에 방점을 찍었다. 전기차의 경우 주행거리를 400km에서 600km로 늘리고, 충전시간을 40분에서 15분으로 단축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차 경쟁력을 확보해 글로벌 전기차 생산기지로 거듭나겠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2026년까지 관련 분야에만 3900억원 가량을 투자한다.
 
현대차는 2025년까지 스위스에 수소트럭 1600대를 납품하기로 하는 등 시장 선점에 힘을 쏟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기·수소차에서 이미 앞선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 기업들이 시장 내 우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관련 성능 개선을 뒷받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업계 역시 미래차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차원에서 2030년까지 초소형 전기차부터 트럭, 버스 등 모든 친환경차 종류 확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0일 미래차 시험평가 장비·시설 시찰과 미래차 발전 로드맵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충남 천안시 동남구에 위치한 자동차부품연구원을 방문해 관계자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국내 완성차업계 외에 제너럴모터스(GM), 르노 등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의 전기차 생산기지 구축도 뒷받침한다. 특히 친환경차 차종 출시를 위한 기술개발 과정에서 국내 협력업체들과의 R&D를 가속화하도록 관련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앞서 프랑스기업인 르노가 르노삼성 부산공장에 초소형전기차 트위지의 전 세계 생산을 맡긴 사례를 확대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자율주행차 분야에서는 도로 주행체계 등 관련 제도가 뒷받침되도록 정부가 선제적 투자에 나선다. 우선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레벨4)에 필수적인 통신, 정밀지도, 교통관제, 도로 등 4대 인프라를 전국 주요 도로에 완비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가 목표로 제시한 커넥티브형 완전자율주행은 인프라와 제도가 완비되지 않으면 상용화가 불가능하다"며 "민간에서 관련 차량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정부가 선제투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 타임스퀘어 일렉트로마트 영등포점에서 모델들이 대형마트 최초로 도심형 전기차 르노삼섬 '트위지(TWIZY)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강명연 기자 unsaid@etomato.com
  • 강명연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