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손정협

(지속가능 바람)지구는 지난 40년 동안 경작지의 3분의1을 잃었다

2016-02-22 06:00

조회수 : 3,856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지난 40년 동안 세계는 침식 또는 오염으로 인해 경작 가능한 땅의 3분의1을 잃었다고 합니다. 표토의 2.5cm가 주위 환경에 방해받지 않고 생태학적으로 생성되기 위해서는 거의 500년이 소요된다고 하니 상당히 큰 손실을 입은 거죠. 토양 침식은 주로 작물의 파종과 수확을 위해 지속해서 경작함으로써 표토가 유실되어 발생합니다.
 
만약 토양을 반복해서 갈아엎으면, 토양은 산소에 노출되어(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져 토양 유기물이 훨씬 더 빨리 분해되어) 탄소를 효과적으로 저장하지 못하고 탄소가 대기 중으로 빠져나갑니다.―건강한 토양은 더 많은 탄소를 저장하고, 유기물 형태의 탄소는 토양 입자를 서로 결합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런 손실은 토양의 물 저장 능력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반면 인류는 늘어난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2050년까지 50% 이상 식량을 증산해야 합니다. 뭔가 행동해야 할 때인데, 과학자들은 경작지와 목초지로 순환시켜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렇게 되면 보다 많은 땅을 쓸 수 있게 되고 또 한 번에 사용되는 땅은 줄어듭니다. Guardian이 이밖에 토양보전에 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전했습니다. 위성준(인천만수고등학교ㆍSARKA 리포터)ㆍ박다미(바람저널리스트)가 정리했습니다.
 
 
 
 
패스트푸드 회사가 식재료를 구하는 방법
 
식재료를 구하는 방법의 변화는 동물복지와 함께 인간의 건강과 관련됩니다. 케이지 프리(cage-free) 달걀, ‘항생제 없이 닭 기르기’ 등을 통해서죠. 하지만 이런 움직임에 동참하기를 거부하는 식품회사도 있겠지요. 물론 변화는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 대목에서 생각할 거리는 식재료의 수준이 올라가면 공급가격이 올라갈 테고, 결국 먹거리의 양극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발생합니다. 평등의 구현범위에 관한 고민입니다. 우리가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니 이런 고민을 하지 않을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washington post 보도를 김지연(부산국제고등학교ㆍSARKA 리포터)ㆍ공인영(바람저널리스트)이 정리했습니다.
 
 
 
100% 재활용 가능한 바이오 플라스틱 
 
바이오 플라스틱은 토양 속 세균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생체 적합 플라스틱입니다. 지금까지는 완전히 본래의 분자 상태로 분해되는 바이오 플라스틱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미국 콜로라도 주립 대학교의 연구원들이 재활용 가능한 바이오 플라스틱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군요. 재활용 가능한 바이오 플라스틱을 만든 그들의 연구 방법과 바이오 플라스틱에 미래에 관해 Source에서 보도한 것을 오민지(대일외국어고등학교ㆍSARKA 리포터)ㆍ정연지(바람저널리스트)가 정리했습니다.
 
 
 
  • 손정협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