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편해지는 경기도…서울·경기 통합노선은 '글쎄'
'The 경기패스', '똑버스',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성공적 안착
올해 3월 GTX-A 개통...철도 교통 확대 위해 '경기도 철도기본계획'도 발표
도, 올해 지방도 예산 4453억 편성
2024-06-21 17:21:33 2024-06-21 17:22:43
[뉴스토마토 박창욱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 취임 후 경기도 교통망과 교통서비스가 확충되고 있지만, 경기와 서울의 통합노선은 체감효과가 적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경기도는 'The 경기패스' 가입자가 70만명을 넘었고,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인 '똑버스'도 안착한 모습입니다. 올해 지방도 예산도 지난 5년 평균치의 2배인 4453억원을 편성했습니다. 그런데 서울의 통합교통카드인 기후동행카드를 경기도에선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기도청에 따르면, 김 지사는 지난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를 만나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사업 △신안산선 복선전철 사업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 3건에 대한 국비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은 서울지하철 7호선 도봉산역에서 의정부경전철 탑석역을 경유, 양주시 고읍지구까지 연결하는 총 15.1㎞ 구간의 단선전철 설치 사업입니다. 신안산선 복선전철은 안산 한양대역~서울지하철 여의도역 등 총 44.7㎞ 구간을 잇는 전철로입니다. 두 사업은 경기 북부의 수도권 출퇴근 시간을 최대 30분가량 단축하고, 수도권 서남부 도심의 교통난 해소 등 교통 여건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0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왼쪽)를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경기도 교통망·교통서비스 확충은 김 지사가 공을 들이는 사업입니다. 성과도 두드러집니다. 경기도는 지난달 1일 K-패스(국토교통부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와 연계한 경기패스 사업을 시작한 지 45일 만에 70만명의 이용자를 끌어모았습니다. 경기도는 연말까지 100만명을 가입시키는 게 목표입니다. 김 지사 최 부총리를 만나 경기패스 이용자에 대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에 국비 지원을 요청한 것도 이런 맥락입니다. 
 
경기도형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도 순조롭게 진행 중입니다.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는 경기도와 시·군, 버스회사가 함께 시내버스를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경기도에 따르면 공공관리제 시행 후 버스에 대한 민원, 운수 종사자의 피로도가 줄었습니다. 운행 차량도 늘어 정시성이 높아졌고, 이용객의 편의도 개선됐다고 합니다. 경기도는 올해 시내버스 1200대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전체 6200여 대를 공공관리제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고정된 노선과 정해진 운행계획표 없이 승객의 호출에 따라 탄력적으로 승객을 수송하는 똑버스도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누적 이용자 160만명을 넘겼고, 올해 내 20개 시·군 265대 규모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3월19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철도기본계획(2026~2035)을 발표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철도 교통 상황도 더 나아질 걸로 보입니다. 지난 3월 경기도는 42개 노선, 645㎞ 구간의 철도 건설을 추진하는 내용의 ‘경기도 철도기본계획’(2026∼2035년)을 발표했습니다. 고속철도의 경우 KTX를 파주 문산까지, SRT를 의정부까지 연장할 방침입니다. 일반철도는 경기 북부에 4개 노선, 남부에 5개 노선을 제시했습니다. 같은 달 GTX-A노선인 수서~동탄 구간도 개통됐습니다.
 
도로 예산도 늘었습니다. 경기도는 올해 도로 예산으로 4453억원을 편성했습니다. 지난 5년간 연평균 약 2300억원 규모로 수립된 예산의 두 배에 달하는 액수입니다. 경기도는 이번 예산 확대로 민선 8기 내 지방도 사업 21개소 84.93㎞를 준공하고 15개소 70.82㎞ 사업을 조기 착공할 예정입니다.
 
다만 서울·경기 간 통합노선 협력에 대해서는 지지부진합니다. 서울시가 진행하는 기후동행카드는 대부분 경기지역에서 사용할 수 없는데요.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시가 기후동행카드 사업계획 단계에서 경기도에 협력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는 겁니다. 이후에도 김 지사는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경기도 측은 "서울시가 기후동행카드 사업 발표 3일 전 경기도에 사업발표 사실만 안내했을 뿐, 사전협의는 일절 없었다"며 "경기도는 각 시·군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를 자율로 맡기고 있다. 시·군에서 필요하다면 서울시와 협력하면 된다"고 말했습니다. 기후동행카드에 추후 참여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경기도는 도민의 교통패턴에 가장 적합한 경기패스 사업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라고 답했습니다.
 
박창욱 기자 pbtkd@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병호 공동체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