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이후 '최대 격차' 유력…변수는 '윤석열 출당'
17대 대선 22.53%포인트 격차…민주 지지층 '기권'
쇄신 거리 둔 김문수 "탈당 도리아냐, 본인 뜻대로"
2025-05-13 17:57:02 2025-05-13 17:57:02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3일 대구 중구 동성로 광장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연설을 마친 뒤 두 손을 번쩍 들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12·3 비상계엄'과 탄핵, 반복되는 보수 진영의 내홍과 분화에 따른 다자구도.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민주화 이후 최대 격차의 1위 후보 당선이 유력해지고 있습니다. 핵심 지지층의 분열과 다자 구도의 결과로 최대 격차 선거를 만들었던 17(득표율)·19대(득표수 기준) 대선의 데자뷔입니다. 다만 최대 격차 여부는 중도층의 선택에 달렸는데요. 국민의힘 쇄신의 첫 출발점인 '윤석열 출당' 여부에 따라 중도보수 진영의 표심이 엇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지지층 이탈·다자구도, '17·19 대선' 데자뷔 
 
13일 <뉴스토마토>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 선거 개표현황을 분석한 결과, 1987년 이후 1위 후보와 2위 후보의 최대 격차(득표율 기준)가 발생했던 대선은 2007년 치러진 17대 대선입니다. 
 
당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전신)의 이명박 후보는 1149만 2389표(48.67%)를 득표했고, 2위인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현 민주당 전신) 후보는 617만 3681표(26.14%)를 득표했습니다. 두 후보의 득표 차이는 531만 8708표로 22.53%포인트의 격차가 나타났습니다. 3위 후보인 권영길 민주노동당 후보가 71만 2121표(3.01%)를 득표하기는 했지만 사실상의 양자 구도였습니다.
 
2007년 대선 투표율은 63.03%로 직전 대선인 2002년 대선의 70.83%보다 7.8%포인트나 하락했는데요. 당시 정 후보를 찍지 않겠다던 대통합민주신당 지지층 상당수가 기권을 택하면서 최대 격차의 대패가 발생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득표수 기준 최대 격차는 19대 대선이었습니다. 당시 문재인 민주당 후보는 1342만 3800표(41.08%)를 얻어 2위를 기록한 홍준표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전신) 후보의 785만 2849표(24.03%)에 17.05%(557만 951표)포인트 앞섰습니다.
 
역대 대선에서 최대 득표수 격차를 보인 19대 대선은 17대 대선과 양상이 다릅니다. 문재인 민주당 후보가 41.08%라는 다소 낮은 득표를 가져갔음에도 1위 후보로 올라선 건 당시 대선이 5자 구도로 치러지면서 표심이 분산된 영향이 큽니다. 19대 대선에서는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21.41%)와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6.76%), 심상정 정의당 후보(6.17%)가 모두 5% 이상의 큰 득표를 가져간 바 있습니다.
 
이번 대선에서는 두 선거의 특징이 모두 반영될 것으로 보입니다. 17대 대선을 고려하면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 지지층의 결집과 보수 지지층의 이탈이 예상됩니다. 국민의힘이 김문수 후보를 선출해 놓고도 한덕수 무소속 후보를 당 후보로 무리하게 세우려는 시도 등 당의 내홍이 거세진 영향입니다. 
 
또 이번 대선은 19대 대선과 마찬가지로 다자 구도가 예상됩니다. 19대 대선 당시 보수 진영의 표는 크게 세 갈래로 분리됐습니다. 이는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에 따른 선거 이후 보수의 분열이 만든 패배이기도 했습니다. 이번 21대 대선에서도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로 보수 진영의 표가 분산될 전망입니다.
 
윤석열씨가 1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3차 공판을 마치고 귀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패배 알리바이 만들지 말자"
 
변수는 역시 중도층 민심입니다. 실제로 이재명 민주당 후보는 대선 국면에 돌입하면서부터 중도·보수 외연확장 전략을 펼쳐왔습니다. 
 
다만 이 후보의 중도·보수 외연확장 전략은 국민의힘의 쇄신 여부에 따라 크게 엇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조기 대선을 야기한 12·3 비상계엄과의 연결고리를 끊어내는 것이 '윤석열 출당'에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당내에서는 내란 수괴(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석열씨를 끊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당내 대선 후보 경선에서 2위를 기록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이길 수 있는 길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반대로 가는 움직임이 보여 안타깝다"면서 "불법 계엄 방관과 탄핵 반대에 대해 사과하고(관련자들을 당과 선거 보직에서 배제), 윤석열 전 대통령 출당으로 윤석열 부부와 당이 절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선거운동 첫날부터 싸워보지도 않고 '누가 안 도와줘서 졌다'는 '패배 알리바이' 만들지 말고 이기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윤석열 출당 없이는 '패배'가 뻔하다는 겁니다. 
 
당 비상대책위원장에 내정된 김용태 공동선대위원장은 이날 윤씨에 대한 출당·제명 등 거취 정리 문제와 관련해 "목요일 비대위원장에 정식 임명되면 말씀드리겠다"면서 당 차원의 조치를 시사했습니다. 그는 다만 "국민 상식에 맞는 판단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도 "대통령 스스로 결단해야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정작 당 대선 후보가 윤씨의 출당에 거리를 두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김문수 후보는 윤씨의 탈당에 대한 여론조사 응답이 과반이라는 지적에 대해 "대통령이 탈당하는 것은 본인의 뜻"이라고 거리를 뒀습니다. 특히 "만약 잘못한 점이 있다고 판단해서 탈당하라고 한다면 우리 당에도 책임이 있다"며 "자기가 뽑은 대통령을 탈당시키는 방식으로 책임이 면책될 수 없고, 도리도 아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