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진하 기자]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김건희씨의 종묘 사적 이용에 관해 부실 관리를 인정한다며 사과했습니다.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허 청장은 16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정감사에 출석했습니다. 여당인 민주당은 김씨의 종묘 사적 유용을 거론하며 '김건희의 세계문화유산 침탈'로 규정했고, 국가유산청을 질책했습니다. 이에 국가유산청은 '김건희 특검' 수사와 별개로 김씨의 문화유산 사적 이용을 수사 의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체위 여당 간사인 임오경 민주당 의원이 관련 내용을 집요하게 물었습니다. 그는 허 청장에게 "국가유산청이 원칙에 어긋난 요청을 차단하지 않고 신실을 개방했고, 장소 사용 요청 절차도 무시했다"며 "직원들에게 들기름까지 사용해 바닥에 윤이 나도록 닦으라고 청소를 시켰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유산청은 출입 기록을 은폐하기 위해 CCTV 작동을 정지하고, 유물 훼손 방지를 위해 직원 배석이 필요함에도 배석을 시키지 않았다"고 위법 정황을 언급했습니다. 또 "인사 방문 결과 기록을 남기지 않으면서 사적 사용 은폐를 했는데, 한마디로 '특혜 불법 종합선물세트'"라고 질타했습니다.
허 청장은 "저도 그렇게 판단했다"고 답했는데요. 임 의원은 "이런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국가유산청이 왜 존재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없애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자 허 청장은 "신실을 개방했다는 것은 부적절하고 아주 나쁜 일"이라고 공감했습니다.
이후 허 청장이 "사과하겠다. 죄송하다"고 말하자 임 의원은 "사과할 사람은 다른 사람이 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윤석열정부에 최응천 전 국가유산청장을 거론했습니다.
이에 이재필 궁릉유적본부장도 이날 국감에서 김씨를 직접 신실로 안내했다고 말하며 "대통령실의 요청이 있더라도 신중한 판단을 못했다"고 사과했습니다.
한편, 지난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종묘에서 김씨가 외부 인사들과 차담회를 가졌다는 사실이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당시 조선 왕실 신주를 모신 영녕전 신실까지 들어갔던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확산됐는데요. 신실은 일반인 출입은 물론 개방 자체가 엄격히 제한되는 곳입니다. 종묘에서도 가장 신성한 공간으로 알려져 있어, 매년 두 차례 종료대제가 열릴 때만 개방됩니다.
이진하 기자 jh3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