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배덕훈 기자] 국내 대기업 그룹의 자산 총액이 5년 동안 800조원이 넘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중 재계 1~3위인 삼성·SK·현대차의 자산 증가액은 나란히 상위권을 유지해 자산 쏠림이 더욱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 도심 속 마천루의 모습. (사진=뉴시스)
2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 중 2019년과 2024년 결산 기준 자산총액 비교가 가능한 52개 그룹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그룹의 전체 자산 규모는 2019년 1897조2869억원에서 2024년 2709조853억원으로 811조7984억원(42.8%) 증가했습니다.
이 중 삼성·SK·현대차·LG·롯데 등 5대 그룹의 자산 규모는 2019년 1143조5705억원에서 지난해 1588조741억원으로 444조5036억원(38.9%) 증가해, 나머지 47개 그룹의 총 자산 증가액(367조2948억원)을 앞질렀습니다.
기업별로는 재계 1~3위인 삼성, SK, 현대차가 자산 증가액 순위에서 나란히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삼성그룹은 5년 새 자산 규모가 164조원 늘어나 단일 그룹으로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습니다. 삼성의 총 자산은 2019년 424조8480억원에서 지난해 말 589조1139억원으로 38.7% 증가했습니다.
SK그룹도 SK하이닉스의 기업가치가 급상승해 2022년 이후 재계 2위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SK의 자산 규모는 225조5260억원에서 362조9619억원으로 137조4359억원(60.9%) 늘었습니다.
현대차그룹도 234조7058억원에서 306조6173억원으로 71조9115억원(30.6%) 증가했습니다. 글로벌 판매 호조와 배터리, 모빌리티 사업 확장 등에 힘입은 영향입니다.
이들 3대 그룹에 이은 자산 규모 증가액 상위 10개 그룹은 한화(54조573억원), LG(49조979억원), HD현대(25조8573억원), 한진(24조6226억원), 롯데(21조7926억원), 카카오(20조6046억원), 신세계(19조7706억원) 등입니다.
자산 증가율 기준으로는 중흥건설이 217.5%(18조3111억원)로 가장 높았습니다. 중흥건설은 2021년 대우건설 인수 효과가 본격 반영돼 자산이 3년 새 3배 이상 급성장했습니다.
반면, 조사 대상 그룹 중 5년 전 대비 자산이 축소된 그룹은 교보생명보험(2조4754억원↓), 부영(1조8313억원↓), 두산(1조1005억원↓) 등 3개 그룹입니다.
또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실적 지표에서도 상위 그룹이 우위를 보였습니다. 5대 그룹의 매출은 지난 2019년 848조6894억원에서 지난해 1106조2944억원으로 257조6050억원 늘었습니다. 영업이익도 5년간 31조3220억원 증가했습니다. 반면 나머지 47개 그룹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08조1270억원, 15조7606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이 중 현대차만 유일하게 5년 동안 매출액이 100조원 이상(106조8046억원) 증가했습니다. 그 뒤를 삼성(85조1240억원), SK(44조5697억원), HD현대(28조9144억원), 한화(22조5358억원) 등 순이었습니다.
반면 태영·두산·DL·부영 등 4곳은 건설 업황 악화로 역성장한 것으로 조사됐고, 화장품을 주력으로 하는 아모레퍼시픽, 석유화학·섬유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태광 등 2개 그룹도 매출이 감소했습니다.
영업이익 부문에서는 SK가 5년 전 대비 17조2871억원(173.2%) 증가해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현대차(11조2139억원·153.2%), 삼성(7조6291억원·39.3%) 등 순이었습니다. 반면 LG는 같은 기간 영업이익이 2조8061억원 감소해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배덕훈 기자 paladin703@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