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수정 기자] 대형 법인보험대리점(GA) 인카금융서비스가 저축은행 인수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GA가 정식 금융회사로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에 인수 현실화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카금융은 서울·수도권 영업 기반을 갖춘 저축은행 매물을 중심으로 인수 검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은 내부에서 저축은행 인수를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인수 후보 매물은 상상인저축은행(경기·인천),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충정·대전), 페퍼저축은행(경기·호남), 동양저축은행, HB저축은행, 애큐온저축은행(서울·부산), OSB저축은행 등으로 예상됩니다.
인카금융이 저축은행을 인수한다면 이는 GA가 금융사를 인수하는 국내 최초 사례입니다. 동시에 비은행권을 넘어서 전통적인 금융회사가 아닌 GA가 금융업으로 확장해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점쳐본 셈이라 업계 관심도 집중되고 있습니다.
최병채 인카금융 회장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는 단순히 보험 비교 판매 회사에 머무르지 않고, 종합 금융상품을 판매하는 '금융 판매사'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런 방향성과 시스템은 다른 GA와 구분되는 핵심 경쟁력"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인카금융은 지난해 투자자문사 헥사곤파트너스와 대출중개법인 모기지리더스를 자회사로 편입했습니다. 나아가 전통 금융사인 저축은행까지 인수해 자산관리 서비스를 선뵈겠다는 계획입니다.
다만 GA가 금융사를 인수하거나 지분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인가·규제 공백을 먼저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현행법상 GA는 금융회사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보험업법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하고 보험상품의 모집이나 중개(판매) 역할을 담당하지만, 은행·보험 등 금융업 설립 인허가를 거쳐 금융회사로서의 지위를 확보한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금융당국이 GA의 금융사 인수를 심의한다고 하더라도 금융지주회사법이나 금융업법의 규제를 적용받지 않기 때문에 자본금, 지배구조, 내부통제 등의 일반적인 기준을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최근 금융당국은 GA를 법적 금융권 영역으로 편입하기 위해 '디지털금융안전법'을 준비 중입니다. 금융지주회사법, 인수합병 관련 법률 체계, 감독 체계 전반에 걸쳐 근본적 재검토와 개편이 이뤄지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여러 가지 비전을 검토할 순 있으나, 금융사도 아닌 위탁사업자 신분으로 관련 규제 공백을 감내하고 금융사 인수에 대한 금융당국의 허가를 받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습니다.
신수정 기자 newcrystal@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