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근 의원 "LG 서브원, MRO사업 전면 철수"촉구
" '공공SW분리발주'제도 시행 5년, 정부부처 도입 의지 전혀 없어"
2011-08-17 17:45:45 2011-08-17 17:46:19
[뉴스토마토 조정훈기자] 국회 지식경제위 소속 한나라당 정태근 의원은 17일 지경위의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에 대한 공청회'에서 "LG 서브원은 조속히 1차 계열사에 한해 사업을 추진하거나 사업을 전면 철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최근 삼성은 MRO사업을 철수하고 매각 결정을 했으나 인수 후보가 대부분 외국계 기업과 사모펀드인 데다 중소기업이 인수하더라도 부작용이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인 만큼 매각 없는 전면 철수를 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LG 서브원은 사무용품을 비롯한 건설·설비보수, 공기구·전기전자제품, 환경·청소·잡화 등의 소모성 자재와 생산설비·부품 등의 원부자재까지 MRO에서 판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소 제조업체를 비롯한 유통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LG 서브원은 MRO사업과 관련된 향후 방향 등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정 의원은 "삼성의 MRO사업을 외국계 기업이 회수를 인수한 뒤 자재를 해외에서 조달한다 해도 제재할 수단이 없다. 펀드 성격상 비용 절감을 위해 납품단가 인하를 요구할 경우 중소 납품업체의 피해는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경부 장관과 공정거래위원장에게 대기업의 거래 강요, 물품납품업체 가격 후려치기 등 불공정거래가 없는지 철저히 조사해 국회에 보고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와 함께 그는 "지금까지 공공SW분리발주제도가 시행된 지 5년이 지났지만 정부부처가 이 제도를 도입하고자하는 의지가 전혀 없어 보인다. 기관 자료에 의하면 50%대라는 분리 발주율이 실제 올해 평균 10%정도 밖에 안 된다"고 우려했다.
 
그는 "중소기업에게 동등한 기회를 주기 위해 도입한 동 제도의 기본취지를 정부가 흔들고 있다. 향후 면밀하게 사태를 조사해 제도의 빠른 정착을 유도하고 향후 결산, 예결위에서 계속적으로 다루겠다"고 못 박았다.
 
 
뉴스토마토 조정훈 기자 hoon77@etomato.com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