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국감)"기름값 100원 인하 '눈속임'..공급가 부풀려 생색"
"정유사 공급가 부풀리기, 강도높은 압박 필요"
2011-09-26 11:08:17 2011-09-26 18:07:43
[뉴스토마토 윤성수기자] 올해 4월초부터 7월초까지 시행한 기름값 100원 인하가 정유사의 눈속임에 불과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김태환 한나라당 의원은 26일 한국석유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국내정유사 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 정유4사 모두 공급가격을 부풀린 후 100원을 인하한 흔적이 역력하다고 주장했다. 이 조치가 결국 생색내기였다는 것이다.
 
기름값 인하에 돌입한 4월 이후 국내정유사들의 수출가격과 내수가격 차이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국제휘발유가격과 국내휘발유가격의 차이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09년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SK의 내수용 휘발유 가격은 수출용보다 평균 64.50원 더 비쌌다.
 
하지만, 100원인하가 시작된 4월 이후 3개월간 SK의 경우 가격차이가 80.67원으로 기존 평균가격보다 16.17원 증가했다.
 
특히, 6월은 그 차이가 111원으로 조사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나머지 GS칼텍스와 현대오일뱅크, 에쓰오일(S-Oil(010950))도 인하 전 내수-수출용 휘발유값 차이가 평균 31.62원이었지만 인하 후 45원으로 13.38원 증가했다.
 
이들 3사가 공개한 내수가격은 100원 인하를 반영한 가격임을 감안하면 내수-수출가격차이는 145원으로 급증한 셈이다. 가격 인하 당시 SK는 신용카드 사후정산 할인 방식을, GS칼텍스와 현대오일뱅크, 에쓰오일은 주유소 공급가 할인 방식을 택했다.
 
김 의원은 "그동안 정유사들은 수출가격이 내수가격보다 50~70원 싼 이유에 대해 세금환급과 유통비용절감 때문이지 실제 생산원가는 같다고 주장해왔다"면서 "이와 달리 인하기간 동안에도 여전히 내수가격이 수출가격보다 높게 책정됐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국제휘발유가격과 국내휘발유가격의 차이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유사에 따르면 국내휘발유가격은 싱가포르 국제휘발유의 변동에 따라 반응한다.
 
SK의 경우 인하전의 휘발유 국제-국내가 차이는 국내가격이 평균 72.32원 비쌌다. 하지만, 인하기간 동안의 평균 가격차이는 87.03원으로 증가했고, 6월에는 106.14원의 차이가 발생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외 3사(GS,현대,S-Oil)는 국제-국내가격의 차이가 기존 84.80원에서 145.12원으로 60.32원이 증가했으며, 3사 모두 6월에 국제-국내 가격차이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GS 163.32원, 현대 177.52원, S-Oil 151.97원)
 
김 의원은 "이는 정유사가 공급가격을 부풀린 것으로 충분히 해석이 가능해지는 만큼 정부는 정유사에 대한 압박을 더욱 강도 높게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