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證 "SOC BTO딜 여의도서 '물꼬' 튼다"
(인터뷰)김성환 한국證 프로젝트금융본부장
2013-08-26 09:00:00 2013-08-26 13:33:57
[뉴스토마토 차현정기자] “하반기 국내 사회간접자본(SOC) 수익형민자사업(BTO) 시장을 직접금융으로 가져오기 위한 구조화(Structuring) 작업에 주력할 방침입니다. ‘여의도 밖의 것’을 새롭게 들인다는 것 자체가 설렙니다.”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프로젝트금융본부장(전무·사진)은 한껏 고무돼 있다. 이달 29일 자본시장법개정안 시행에 따른 수익원천 확대 기대감이 묻어난다.
 
이런 말도 덧붙였다. “야구 경기에서 슬라이더, 싱커, 체인지업 등 여러 구종을 자유롭게 구사하면 타자 요리가 쉬워지듯 기존 증권사 유가증권발행업무에 기업신용공여가 가미되면 상품다양성 또한 풍요로워지지 않겠어요.”
 
◇여의도 먹거리 2탄 출격..기대감 'UP'
 
김 본부장은 앞서 은행·보험사 전유물로 여겨지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라는 금융상품을 증권업계의 직접금융시장으로 가져온 장본인이다. 그 경험을 살려 이번에는 ‘속편’ 도전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흥행에 성공한 ‘전편’에 대한 부담은 있죠. 하지만 남들 다 하는 플레인바닐라(plain vanilla)는 하지 않겠다는 생각입니다.”
 
국내 SOC BTO 시장은 이미 대형 보험사나 국책은행 등 소수 참가자에 의해 과점된 시장이다. 하지만 직접금융을 통하게 되면 조달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부담을 대폭 줄여줄 수 있을 것이란 확신이 있다고 김 본부장은 말한다.
 
복잡한 내부 스탠스에 의해 대출 또는 투자가 결정되는 은행·보험사의 간접금융시장과 달리 수요에 의해 등급이 부여되는 직접금융시장은 규모에 있어서도 경쟁력이 높다.
 
“한 번 편리(便利)를 경험한 시장은 다시 회귀하지 않는다고 믿습니다. 여기에 저렴한 보수까지 더해진다면 금상첨화겠죠. 일단 ‘둑’만 허물면 높은 곳의 물은 아래로 쏟아지게 돼 있습니다.”
 
오히려 시장을 굳건히 지켜내는 게 더 어렵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선 프로젝트 금융시장 참가자들이 변해야 한다고 했다.
 
“은행이나 보험사는 ‘굿딜, 빅딜(Good deal, Big deal)’이 있어도 단독 참여는 않습니다. 클럽 딜을 통해 가져가죠. 또한 우리나라 대형 IB 시장선도를 위한다면 글로벌 IB에 뺏기지 않기 위해서라도 신디케이션 구성을 정착시켜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극단적인 ‘올오어낫씽(all or nothing)’은 버리고 ‘나눔’을 통해 가져가는 게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1000만원 딜 100억원 만드는 '창의성'은 필수
 
한국투자증권 프로젝트금융본부는 총 45명의 인력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연간 6~7조원 내외의 부동산금융 주관을 통해 시장에서 부동의 1위를 독주한다. 몫으로 남는 수수료 수익은 평균 연 400억원 정도. 회사 당기순이익(지난해 1901억원)의 약 20%에 해당하는 규모다.
 
전 직원(7월 말 현재 2641명) 1.7%에 불과한 인력이 회사 전체 수익의 5분의 1을 벌어들이는 셈이다.
 
“은행이나 보험사와 달리 직접금융이기 때문에 이자수익이 아닌 수수료 수입이 발생하기 때문이죠. 실질적으로는 25명의 기업금융전담역(RM)이 내는 수익이기 때문에 실질 인당 생산성은 더 높다고 볼 수 있어요.”
 
일 잘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창의성’을 꼽았다. 프로젝트금융본부 인력 가운데 철학, 미술, 역사 전공 출신자들이 많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경제학이나 경영학 전공자들이 많지 않습니다. 과거에도, 현재도 없는 창의적 과정을 통해 딜을 풀어내야하기 때문이죠. 같은 딜이라도 어떤 이는 1000만원을 버는 반면 또 다른 이는 100억을 벌 수 있는 게 이 시장입니다.”
 
인력 확대 계획도 있다. 새 영역 확장에 따른 결정으로 하드애셋(hard assets) 필요에 대한 인식도 이미 회사와 마친 상태다. 대형건설사 출신의 시니어직급 전문인력 2명과 자산운용사 하드애셋 인력 1명을 각각 영입했으며 이들은 내달 1일 정식 출근한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