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노벨과학 수상자 '0'명..과학 출연연엔 관피아 득실
2014-10-12 11:59:38 2014-10-12 11:59:38
[뉴스토마토 박민호기자] 노벨상 수상의 영예를 안을 것으로 기대됐던 한국인 후보 2명이 결국 호명되지 못했다.
 
노벨상은 한 국가의 기초과학 수준과 산업경쟁력의 척도로, 과학분야 수상이 전무하다는 것은 국가의 기초과학 수준이 그만큼 취약하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노벨상 과학분야 수상자는 현재까지 미국이 332명, 영국이 118명, 독일이 104명을 각각 배출했다. 아시사에서는 일본 22명, 인도 9명, 중국 7명 등으로, 한국은 전무하다.
 
정치권에서는 이날 한국에서 노벨상 수상사가 나오지 않는 이유에 대해 정부가 기초과학에 투자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특히 장기적 안목이 아닌 단기 성과에만 급급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기업 차원의 기초과학 지원 부재도 아쉬움으로 지목됐다.
 
새누리당 윤영석 대변인은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일본인은 도요타자동차가 후원했다"며 "도요타는 나고야대학과 협력해 30년간 집중적으로 투자한 결과 이런 노벨 물리학상 수상이라는 쾌거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런 처참한 상황 속에 우리나라 과학기술을 이끌 출연연에는 관피아들이 득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새정치연합 홍의락 의원에 따르면 최근 5년 사이 정부부처를 퇴직한 공무원이 정부 출연 연구기관에 재취업한 사례는 24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별로는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7건,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각각 4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3건이다. 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각각 2건, 한국기계연구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각각 1건으로 조사됐다.
 
미래부 출신이 7건으로 가장 많았고, 국가정보원이 5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감사원, 국교부가 각각 2건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7명의 관피아가 재취업한 국가보안기술연구소는 대통령실 1명, 감사원 1명, 국가정보원 5명 등 권력 정점에 있던 공무원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