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평균가격 89~110% 수준
층·조망 등 개별특성 탓…고가일수록 상한가 범위 커져
2017-02-13 11:45:00 2017-02-13 11:45:00
[뉴스토마토 정기종기자] 동일 면적의 같은 아파트라도 층과 향, 조망 등 개별 특성에 따라 매매가격이 다르게 형성되는 서울 아파트 거래가격 범위가 평균 대비 10% 가량 높거나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같은 단지 내 동일 면적별로 최고가는 평균 거래가의 110%, 최저가는 89%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로얄층 등 우량 매물은 평균 거래가보다 10% 가량 가격이 더 비싸고, 반대로 저층이나 급매물 등은 평균 거래가에 비해 11% 낮은 수준에서 거래가 이뤄지는 셈이다.
 
평균 거래가를 기준으로 금액대별 평균 대비 최고가 비율을 보면 ▲6억원 미만(109%) ▲6억원 이상~9억원 미만(110%) ▲9억원 이상(112%) 등으로 아파트값이 높을 수록 가격 편차가 크고 평균보다 더 높은 수준에서 상한가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같은 단지 내 동일 면적별로 최고가는 평균 거래가의 110%, 최저가는 89%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자료/부동산114
 
고가 아파트의 경우 자금력을 갖춘 수요층이 많다 보니 우량 물건에 대한 웃돈 지불 의향이 그만큼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비해 최저가 비율은 평균거래가 대비 89% 선으로 금액대별로 차이가 없었다.
 
작년 개별 면적 단위로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송파구 신천동 파크리오 전용 84㎡의 경우 최고 거래가는 11억원으로 평균 거래가(9억2018만원) 대비 120% 수준에 거래됐다. 최저가는 7억9000만원으로 평균가의 86% 수준에 매매가 이뤄졌다.
 
한강 조망권 등 개별 특성이 강할수록 가격 편차는 두드러졌다. 한강변에 위치한 광진구 자양동 트라팰리스 전용 154㎡의 최고가는 12억6000만원(23층)으로 평균 거래가(9억2481만원)의 136% 수준에 매매가 이뤄졌다.
 
반면 저층 매물은 81% 수준인 7억5000만원(4층)에 거래돼 하한가를 형성했다. 층에 따라 5억1000만원의 편차가 발생한 것이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아파트 적정 가격을 판단할 때 평균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삼으면 도움이 된다. 평균가에서 위 아래로 10%를 가격 협상의 범위로 보고 향이나 층에 따른 특성을 감안해 판단하면 되는 것"이라며 "다만 경기상황에 따라서도 기준점은 다소 유연하게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기종 기자 hareggu@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