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K팬덤②)'침투율 4%' 그친 K팝…라이트 팬덤 절실
앨범 소비, K팝 헤비팬덤에 종속된 소비행태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 공략 필요…K팝 대중화가 돌파구
2024-01-19 06:00:00 2024-01-19 06:00:00
 
 
[뉴스토마토 윤영혜 기자] K팝 음반 판매량 정체가 나타나기 시작한 건 지난해 말부터입니다. 스트레이키즈(스키즈), 에스파에 이어 최근 잇지(ITZY)까지 부진한 성적을 보인 겁니다. 앨범 판매 부진으로 일각에선 K팝 산업 성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는데요.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 침투율 확대를 통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18일 국제음반산업협회에 따르면 전세계 기록 음악 시장에서 앨범 소비 비중은 2013년 46%에서 2022년 18%까지 하락했습니다. 반면 스트리밍 소비 비중은 같은 기간 10%에서 67%까지 상승했는데요. 2021~2022년 동안 음반판매 시장의 플러스 성장이 확인됐지만 K팝 특유의 앨범 소비 문화 확산, 레트로 열풍 영향에 따른 것으로 추정됩니다. 결국 대중들의 음악 소비의 방식은 앨범 구매가 아닌 디지털 스트리밍으로 확산되고 있는 셈입니다. 
 
 
그럼에도 K팝은 과거 방식을 고집하고 있는데요. 지난해 상반기까지 K팝 시장의 성장세를 살펴보면 앨범 소비를 중심으로 하는 '코어팬덤' 문화의 급격한 확산이 두드러집니다. 상반기 컴백했던 주요 남자아이돌인 세븐틴, 스키즈, 드림 모두 전작 대비 초동판매량이 100% 이상 성장했는데요. 하반기 컴백 앨범부터는 성장 정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장 정체는 고성장으로 인한 기저 부담이 꼽힙니다. 예컨대 앨범 200만장에서 100% 성장해 400만장을 파는 것보다 400만장에서 100% 성장해 800만장을 파는 것은 더 어려운 일이기 때문인데요. 특히 고연차의 성숙한 IP일수록 팬덤 규모의 지속적 확장에 따라 전작 앨범의 초동 판매량이라는 기저 부담이 큰 상황입니다.
 
박수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앨범 소비는 K팝 팬덤 문화에 국한된 보편화되지 않은 음악 소비 행태"라며 "대중적인 음악 소비의 행태는 음원 스트리밍 및 공연 관람"이라고 밝혔습니다. 
 
때문에 엔터업계에서는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 성과에 주목하는데요. 현재 K팝의 글로벌 침투율은 4% 남짓으로 추산됩니다. 4%에 갇힐지, 남은 96%에서 폭발적인 성장을 가져올지 기로에 서 있는 셈입니다. 지난해 방시혁 하이브(352820) 의장이 "K팝은 이제 더 넓은 시장에서 더 넓은 소비자층을 만나야 한다"며 "글로벌하게 보편적 가치에 접근할 수 있는 출구와 입구들을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밝힌 점과 궤를 같이 합니다.
 
음원을 통한 K팝의 글로벌 성장 가능성은 밝습니다. 주요 글로벌 스트리밍 지표가 이를 방증하는데요. 국내 아티스트의 빌보드 핫100 차트 진입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지난해 연간 국내 아티스트의 빌보드 핫100 차트 진입 합산 주 수는 68주로 확인됐습니다. 20년은 49주, 21년은 33주, 22년 18주였습니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스트리밍 업체인 스포티파이 사용자들의 K팝 스트리밍 횟수도 매년 지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포티파이 Top 200 스트리밍 차트 내에서 K팝이 스트리밍 된 횟수는 지난해 상반기 기준 32억회로 집계됐습니다. 
 
기존 헤비팬덤에서 나아가 팬덤 활동이 대중화되면 이에 따른 구매력도 동반 상승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임수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아이돌 수명이 기존 마의 7년에서 재계약하는 비중이 크게 확대되자 팬덤 수명도 길어지면서 연령층도 확대되고 있다"며 "이제는 팬덤 활동이 건전한 취미활동으로 인식되는 과정에 있어 라이트 팬덤을 통한 구매력도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박수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K팝은 아시아 중심의 코어 팬덤 확장기에서 벗어나 서구권까지 아우르는 대중적 흥행기로 진입하는 국면에 있다"며 "기존 앨범 중심 팬덤 문화에서 탈피해 대중적 스트리밍 음악 소비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K팝 음반이 판매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영혜 기자 yyh@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