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재계 총수들이 오는 2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 동행을 위해 줄줄이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습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오는 2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에 동행하기 위해 24일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를 통해 출국하고 있다. (사진=연합)
24일 재계에 따르면 최 회장은 이날 오전 12시께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를 통해 출국하며 방미사절단 각오를 묻는 말에 “열심히 할게요”라고 짧게 답했습니다. 12시10분께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도착했고, 12시30분에는 구광모 LG그룹 대표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구 대표는 각오를 묻는 질문에 가볍게 인사하며 출국장에 들어갔습니다. 오후 3시50분에 도착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각오를 묻는 취재진 질문에 별다른 답변 없이 출국장에 들어갔습니다. 이 회장과 동행안 임원은 정현호 삼성전자 부회장, 최성안 삼성중공업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김원경 삼성전자 사장(GPA실) 등 4명입니다.
이번 방미 사절단에는 최 회장과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장을 비롯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김 부회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등이 포함 됐습니다. 허태수 GS그룹 회장과 구자은 LS그룹 회장,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도 사절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해외 출장 중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현지에서 합류할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기업들이 미국 현지 추가 투자를 발표할지 관심이 쏠립니다.
최 회장이 이끄는 SK그룹은 핵심 계열사인 SK하이닉스가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에 38억7000만달러(약 5조원)를 투자해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을 위한 반도체 후공정 공장 건설을 준비 중입니다. 배터리 사업을 펼치는 SK온은 현재 미국에서 단독 공장인 SK배터리아메리카(SKBA) 2곳을 운영 중이며, 올 3분기에는 포드와 합작공장인 블루오벌SK(BOSK) 켄터키 1공장도 가동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SK온이 미국에 공장 6곳을 세우며 투입하는 투자금은 108억달러(약 15조원)로 추산됩니다.
LG그룹 배터리 계열사 LG에너지솔루션은 미시간 홀랜드와 오하이오, 테네시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습니다. 미시간주 랜싱과 애리조나에는 단독 공장을 건설 중이며, 조지아에는 현대차와 합작공장을, 오하이오에는 혼다와의 합작공장을 각각 짓고 있습니다.
오세은 기자 os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