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준금리 인상..한국 금융시장 변동폭 확대 우려"
"글로벌 달러 강세 국면..실효환율 감안한 정책 필요"
2015-01-13 16:36:57 2015-01-13 16:36:57
[뉴스토마토 김하늬기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빨리 이뤄지면 우리나라 금융시장 변동성이 대폭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13일 한국금융연구원과 국제금융학회가 '달러화 강세 및 엔화 약세와 한국의 대응'을 주제로 공동 개최한 정책세미나에서 박성욱 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분석실장은 "글로벌 달러 강세 국면에서 우리나라 원화만 경쟁국에 비해 지나치게 고평가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자료=금융연구원)
 
박 실장은 "현재 미국 경제 성장세가 여타 선진국과는 차별화 됨에 따라 금리정책도 선진국 간에 차별화되면서 글로벌 달러 강세를 강화시킬 것"이라며 "주요국 통화정책 비동조화에 따른 글로벌 달러강세는 원화가치 하락과 자본유출에 따른 금융불안 확대 등을 통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국 금융시장 변동성을 확대시킬 것으로예상했다. 미 연준 금리 인상이 시장의 기대보다 급격하게 이뤄지거나 취약 신흥국에서의 자본유출로 외환위기가 발생하면 한국 금융시장도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다.
 
이에 그는 글로벌 달러 강세 국면에서 실효환율을 감안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실장은 "대부분 통화가 미달러화에 대해 약세를 보이는 글로벌 달러 강세 국면에서 우리나라 원화만 경쟁국에 비해 지나치게 고평가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일본과의 수출 경합도가 높지만 엔화라는 특정 통화와의 상대가치보다는 유럽, 중국 등 기타 경쟁국 통화가치까지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환율안정 목적으로 금리를 낮출 경우 대내적으로는 가계부채 급증, 대외적으로는 자본유출 가능성 측면에서 금융안정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투자 등 국내로 유입된 외화자금을 다시 해외로 환류시키는 정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주요 투자은행들은 올해 원·달러 환율은 상반기에 1130원까지 상승한 후 하반기에는 주춤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원·엔 환율은 달러·엔 환율 상승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100엔당 904원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