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농산물 시장 개방 압박…김정관 "민감성 인지"
김정관 산업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다가오는 '관세 협상'…농산물 역풍 '우려'
"산업 연계성 중요"…산업부 역할 '강조'
2025-07-17 16:56:30 2025-07-17 17:07:14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김성은 기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후보자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발생할 국내 농산물 시장 개방 요구에 대한 우려를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명정부가 추진하는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해서는 산업과 에너지의 밀접함을 강조하며 산업부 내 에너지 정책 기능의 중요성을 드러냈습니다. 
 
"관세 협상, 예단 어려워…국익이 가장 중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진행했습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내달 1일부터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만큼 청문회에서는 관세 협상에 대한 질의가 주를 이뤘습니다. 
 
미국이 관세 협상에 있어 국내 농산물 시장 개방을 우선순위로 한다는 허종식 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김 후보자는 "처음 공무원을 시작할 때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을 하면서 농민과 축산민들이 얼마나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지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면서 "농산물 시장 개방이라는 게 얼마나 민감한 이슈인지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관세 협상과 관련해 정부 부처 간 합의가 쉽지 않다는 우려에는 "현재 (관세 협상에) 직접적인 참여는 하지 않고 있지만 보고는 받고 있다"며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는 참으로 엄중한 시기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어 "대미국 관세 협상팀도 이를 유념해서 주무 부처들과 충분히 의견을 나누며 진행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향후 농축산민들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보상 방안을 마련해달라는 요청에는 "명심하고 유념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서왕진 조국혁신당 의원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소고기나 쌀 등 주요 품목 개방을 이미 수용한 것 아니냐고 물었는데요. 이에 김 후보자는 "제가 알고 있기로 그런 상황은 아니다"라며 "모든 어젠다들이 테이블 위에서 논의되고 있고, 어느 방향으로 갈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통상본부가 너무 쉽게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 아닌가 하는 국민 우려가 있다는 질의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분명하게 말씀드린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김 후보자는 "(협상에) 기한은 있지만 더 중요한 게 우리 국익을 지키는 것"이라며 "그런 입장에서 통상교섭팀들이 열심히 협상에 임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쌀이 진열돼 있다. (사진=뉴시스)
 
기후에너지부 신설엔…"산업·에너지 굉장히 밀접"
 
이재명정부의 조직 개편 방향과 해양수산부로의 기능 이관 문제에 대한 입장도 언급했습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기후와 에너지 정책을 총괄하는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약속한 바 있습니다. 산업부의 에너지 부문과 환경부를 합쳐서 기후에너지부를 만드는 안이 거론되는 상황입니다. 
 
이종배 국민의힘 의원이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대한 입장을 묻자 김 후보자는 "조직 개편 관련 내용은 국정기획위원회와 대통령실에서 결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산업과 에너지는 굉장히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며 산업부 내 에너지 정책의 중요성을 내비쳤습니다. 
 
조선·해양플랜트 기능을 해수부로 이관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굉장히 신중해야 된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이어 "조선 산업은 단순히 물류·해운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기계 산업과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디지털 등 다양한 산업이 얽힌 복합 산업"이라며 "복합 산업을 연계할 수 있는 부분은 결국 산업부에서 하는 게 맞다"고 말했습니다. 
 
김 후보자는 "일본이 조선과 해운을 합쳐서 국토부에서 한 적이 있다. 산업 간 연계성을 놓치는 바람에 조선이 일본에서 경쟁력을 잃게 됐다는 부분이 있어, 그런 부분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며 "다만 해수부와의 긴밀한 연계성은 계속 살려가야 된다"고 부연했습니다. 
 
김성은 기자 kse5865@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