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재범 기자] 인천시가 바이오플라스틱 신기술 상용화를 위한 실증특례 과제 2건을 확보하며 친환경 바이오산업 선도 도시 도약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10일 인천시는 ‘바이오플라스틱 지원센터 구축사업’ 과제 중 2건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인천시)
이번 실증특례는 폐기물관리법상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분류가 불명확해 생긴 규제를 실증하고, 개선 필요성이 인정되면 관련 법령을 정비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던 바이오플라스틱 기술을 실제 환경에서 검증하고 제도 개선의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선정된 과제는 △㈜금강바이오·그린그림㈜·㈜동성케미컬 협력체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퇴비화 장치 및 시스템’ △㈜한새·㈜교원프라퍼티 컨소시엄의 ‘생분해성 공기청정기 필터 모듈 재활용 시스템’ 2건입니다. 인천시 관내 기업이 주도적으로 참여해 지역 친환경 바이오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가 기대됩니다. 실증은 인천강소연구개발특구(인천대학교)에서 향후 2년간 진행됩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실증특례 2건 동시 선정은 인천시가 친환경 바이오산업 혁신을 주도하는 계기”라며 “앞으로도 규제 개선과 기술 지원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순환경제를 선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천시는 이번 성과에 이어 2건의 실증특례 과제를 추가로 신청해 협의 중입니다. 인천시 관계자는 “기업들의 시장 진출 애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소해 지역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재범 기자 kjb51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병호 공동체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