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심'만 좇는 여야…진영 논리 강화
민주당, 1인 1표제…반발에 당헌 개정 '스톱'
국민의힘, 경선룰 당심 70%·민심 30% 논의
2025-11-25 17:46:20 2025-11-25 21:33:40
 
 
[뉴스토마토 이효진 기자] 내년 6·3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여야가 당심 챙기기에 여념이 없습니다. 국민의힘은 경선룰에 당원 여론조사 비중을 높이며 강성 지지층 결집에 나서고 있습니다. 민주당도 1인 1표제를 밀어붙이면서, 여야 모두 당심만 좇다 진영 논리에 갇힐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나경원 국민의힘 지방선거총괄기획단 위원장이 25일 국회에서 열린 '지방선거총괄기획단- 당 소속 시장·군수·구청장 연석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여야 모두 '당심 비율 높이기'
 
국민의힘 지방선거총괄기획단 대변인 조지연 의원이 25일 당 소속 시장·군수·구청장 연석회의 직후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지방선거 경선에서 당원 투표 70%, 국민 여론조사 30% 반영 비율이 바뀔 가능성이 있는지 묻는 말에 "아니다"라고 답했습니다.
 
당 안팎의 반발에도 당심 확대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입니다. 국민의힘은 지방선거 경선 시 당심 반영 비율을 기존 50%에서 70%로 상향하는 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날 최진봉 부산 중구청장은 "국민의힘은 우리 국민 속으로 더 파고들어서 민주당과 차별화해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민주당처럼 개딸(개혁의 딸) 당이 될 게 아니라 민심을 높여야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도 당심 상향안에 힘을 실었습니다. 장 대표는 이날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를 방문한 뒤 "당대표로서 당성을 강조해왔고 당원 권리를 확대하겠다는 약속을 했다"라며 "그런 차원에서 지선기획단에서 그런 안을 제안한 것 같다"라고 밝혔습니다.
 
당심에 꽂힌 건 국민의힘뿐만이 아닙니다. 민주당 지도부는 최근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를 위한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했습니다. 전당대회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 반영 비율을 현행 20대1 이하에서 1대1로 변경해 사실상 대의원제를 없앤다는 계획입니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전 당원 여론조사 찬성률 86.8%를 근거로 1인 1표제를 밀어붙였습니다.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는 입장을 밝혔는데요. 정작 투표권자의 16.81%만 참여한 결과임이 드러나자 당내 거센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이언주 민주당 의원은 지난 2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운영해온 중요한 제도를 충분한 논의 과정 없이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식으로 폐지하는 게 맞느냐 하는 문제 제기"라며 "더구나 왜 대통령 순방 중에 이렇게 이의가 많은 안건을 밀어붙이느냐, 그래서 당원들을 분열시킬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라고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결국 지도부는 당헌 개정 최종 결정을 다음달 5일로 연기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오로지 당심…중도층은 '외면'
 
당심을 업고 당성된 여야 지도부가 지지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지난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에는 당원투표 80%, 국민 여론조사 20%가 반영돼 강성 당원 표심을 누가 더 끌어오느냐가 관건이었는데요. '윤석열 어게인'을 비롯해 극우층의 마음을 움직인 장 대표가 승기를 거머쥐었습니다.
 
당심의 응답을 받은 장 대표는 내년 6·3 지방선거의 해답도 전통적 지지층 결집에서 찾고 있습니다. '우파 시민 연대론'까지 띄우는 상황인데요. 당 안팎에서는 중도층을 의식하지 않는 행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뉴스토마토>와 통화에서 "지난 부산 집회에서도 당 추산에 훨씬 못 미치는 인원이 참석했던 걸로 안다"라며 "선거에선 중도층 표심을 얻는 게 중요한데 전혀 신경 쓰지 않는 모습"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중도층 표심은 야권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지난 24일 공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11월18~20일 조사, 전국 18세 이상 1000명 대상,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포인트,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에 따르면 중도층에서 '여당이 더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44%, '야당이 더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자가 30%로 나타났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한 달 전인 10월 3주 조사에서 △여당 승리 38% △야당 승리 36%로 집계된 것과 비교해 격차가 12%포인트 늘었습니다. 
 
당심에 치우친 건 민주당도 마찬가지입니다. 민주당은 최근 다시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내란전담재판부는 12·3 비상계엄 관련 재판을 전담하는 기구입니다. 법조계에서는 진행 중인 특정 사건의 재판부를 인위적으로 변경하는 건 위헌이라는 입장입니다.
 
'개딸'을 비롯한 강성 지지층의 요구가 내란전담재판부 카드를 다시 꺼내게 된 배경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최근 한덕수 전 총리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등 특검 구속영장 청구가 계속 기각되는 상황에서 내란 청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강성 지지층 사이에서 나오는 상황입니다.
 
다만 민주당 지도부는 일부 지지층을 의식한 결과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2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내란전담재판부는 당연히 설치해야 하는 국민의 명령"이라며 "더 이상 설왕설래하지 않기를 바란다"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효진 기자 dawnj78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