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기상·기후를 예측하고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는 기후변화연구동의 개관식을 진행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대형 체육관 크기의 총 2830㎡ 규모로 조성된 기후변화연구동은 농업 분야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환경 조절 연구시설입니다. 해당 시설은 2050년(중간 미래) 또는 2100년(먼 미래)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 기상 조건을 실제와 같이 조절해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또 적응 기술도 개발하는 핵심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기상·기후를 예측하고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는 기후변화연구동의 개관식을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사진=농촌진흥청)
주요 시설은 복합적인 농업생태계(토양·식물·대기) 변동을 동시에 조절·연구하는 에코돔, 미래 극한 강우와 경사(최대 15%) 조건이 농업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 적응 기술 효과를 검증하는 미래강우동이 구축돼 있습니다.
이어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정밀 제어를 통해 미래 기후 대응의 탄소 저감 연구를 수행하는 인공광·자연광 기후조절실과 AI 기술로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중장기 기상 예측,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 등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상·기후 인공지능 융합실이 있습니다.
이승돈 농진청장은 "기후변화연구동은 기후변화로 더욱 복잡해질 농업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주요 연구 기반이 될 것"이라며 "미래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 농업을 실현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