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종편에 밀리고 SO에 또 밀리고
케이블 채널변경때 동의절차 폐지로 공공채널 EBS '유탄'
2011-12-07 18:06:10 2011-12-07 18:07:41
[뉴스토마토 김원정기자]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시중, 이하 방통위)가 지상파채널 변경 사전협의 절차를 폐지한 데 대해 EBS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미 종합편성채널 개국을 전후로 뒷번호로 밀려나는 피해를 본 데 이어,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채널편성 권한에 이리저리 휘둘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방통위가 이번에 폐지한 것은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이하 케이블SO)가 KBSㆍMBCㆍSBSㆍEBS 등 지상파채널 번호를 바꿀 때 지상파 측 동의를 얻도록 한 절차로서, 업계는 재송신협상에서 ‘성의’를 보이지 않은 지상파측 힘을 빼기 위한 것으로 풀이하는 시각이 많다.
 
상대적으로 케이블SO는 지상파를 압박할 수 있는 힘을 쥐게 된 셈인데, 이들도 지상파 사이마다 홈쇼핑채널을 끼워 넣어 연간 4000억 원을 상회하는 부수입을 얻고 있는 만큼 당장 10번대 아래의 황금채널 라인에서 KBSㆍMBCㆍSBS 같은 ‘시청률 높은’ 지상파방송을 빼지는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결국 황금채널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높은 곳은 공익적 성격의 EBS가 될 수 있다.
 
EBS에 따르면 실제 종편 개국을 전후로 케이블SO가 공공연히 ‘번호 이동’을 요구하는가 하면, 일부 SO는 ‘13번 배정’을 건드리지 않는 대신 계열PP를 빼기도 했다.
 
EBS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수능교육채널인 EBS플러스1과 직업교육채널인 EBS플러스2는 각기 55개 권역과 19개 권역에서 번호가 바뀌었고, 16개 권역에서 퇴출됐다.
 
또 영어학습채널인 EBS English는 3개 권역에서 번호가 바뀌고, 11개 권역에서 번호를 잃었다.
 
이에 더해 내년도 채널계약을 앞두고 방통위가 지상파채널 변경 사전협의 절차를 폐지하면서 대개 ‘13번’으로 송출되는 지상파채널 번호도 온전히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케이블SO 입장에서 EBS는 ‘애국가 시청률’도 안 나오는 돈 안 되는 채널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EBS가 수신료 일부를 재원으로 삼고 있는 공영방송이자, 계열PP는 공익채널이기도 하다는 사실이다.
 
이 때문에 채널 경쟁력과 무관하게 시청 접근권이 보장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EBS는 현재 ‘채널 수호 비상대책본부’를 꾸리고 전사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7일 보도자료를 내 “국민 학습권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케이블TV사업자들의 대승적 인식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전국언론노동조합 EBS지부(지부장 류성우)도 6일 성명을 내 “의무전송채널이자 공영방송인 EBS의 채널번호가 유료방송에 의해 좌지우지될 상황에 처한 것을 개탄”한다며 “방통위의 공영방송 무시, 유료방송사업자에 의한 EBS의 채널 정체성 훼손 행위를 강력 규탄한다”고 밝혔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