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사물인터넷 융합 48.3점"
2015-08-20 11:00:00 2015-08-20 11:00:00
[뉴스토마토 임애신기자] 사물인터넷(IoT)이 성장세가 둔화된 제조업을 부응할 수 있지만 기업들은 초기 기술 비용 부담으로 인해 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으로 연구개발(R&D) 예산과 인센티브 확대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 30명의 IoT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제조업과 IoT 융합 점수는 평균 48.3점로 아직 미비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전문가의 46.6%가 우리 제조기업의 IoT 활용 인프라가 미흡하다고 답했다. IoT 활용 촉진을 위해 가장 필요한 기술적 요소로 디바이스 부문은 센서와 서비스 생태계 부문은 플랫폼 분야를 꼽았다.
 
정책적 지원으로는 R&D등 개발 및 활용 자금 지원과 오픈플랫폼 등 기술지원을 제시했다.
 
자료/ 전경련
 
IoT는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을 말한다. 제조업과 IoT가 융합되면 제조업의 스마트화, 서비스화, 고부가가치화를 가져 올 수 있다.
 
기업들도 이를 인지하고 있다. 전경련이 제조기업 5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제조기업 IoT 활용도 및 애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90% 이상이 IoT의 중요성에 공감했다.
 
하지만 실제 IoT를 활용하는 기업은 5.6%에 불과했으며, 활용할 계획이 있는 기업도 11.1%에 그쳤다.
 
이처럼 기업들이 IoT 활용에 부담을 느끼는 것은 비즈니스 모델 부족으로 인한 위험성(37%)과 센서 탑재, 플랫폼 구축 등의 기술적 초기 비용(27.8%), 정보보안 문제(25.9%) 등 때문이다.
 
기업들은 IoT 활성화를 위해 기술지원(37%)과 자금지원(27.8%)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자료/ 전경련
 
이에 전경련은 정부의 IoT 관련 R&D 예산 확대와 더불어 IoT R&D 기획 단계에서 제조기업의 현장 수요가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조세특례제한법에서 규정한 신성장동력기술에 누락된 IoT 기술 채택을 통한 IoT R&D 세액공제 등 관련 인센티브 확대를 촉구했다.
 
올해 미래창조과학부의 IoT R&D 예산은 239억100만원으로, 전체 과학기술·ICT 분야 R&D 예산의 0.6%에 불과하다. 더구나 신성장동력 기술을 1~2년 주기로 심사하는 탓에 신성장동력 R&D 세액 공제 대상에 IoT가 포함되지 않았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미국, 독일, 중국 등 주요국 모두 IoT를 제조업 경쟁력 제고의 주요수단으로 지목하고 육성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제조업과 IoT 융합을 촉진할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애신 기자 vamos@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