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된 유료방송…새 정부에 정책제안 안간힘
가입자 감소 중인 케이블TV·위성…IPTV도 성장세 꺾여
유료방송만큼 성장한 OTT, 규제는 무풍지대
유료방송 업계, 여·야에 "정책지원 시급" 목소리 키워
"방발기금 분담 대상 확대" 공통 주장…케이블TV는 지역콘텐츠 지원도 건의
2025-05-28 16:43:50 2025-05-29 08:41:02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확대 속에 유료방송 시장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은 역성장 중이고, 인터넷(IP)TV는 성장률이 0%로 수렴하는 모습입니다. 유료방송업계는 OTT에 준하는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새 정부 출범에 맞춰 국내 유료방송의 지속 가능한 성장이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반기마다 발표하는 유료방송 가입자 수를 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케이블TV 가입자는 1241만명으로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위성방송도 282만명으로 가입자가 줄었습니다. IPTV는 2107만명으로 직전 반기 대비 0.41% 증가했지만, 2023년 하반기부터 0%대 성장률입니다. 
 
(자료=과기정통부, 그래픽=뉴스토마토)
 
지난해 하반기와 올해 1분기까지 상황은 더 악화했을 것으로 업계는 예상합니다. 케이블TV 1위 사업자인 LG헬로비전(037560)의 방송 매출은 지난해 3분기 1275억원, 지난해 4분기 1207억원, 올 1분기 1229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분기 평균인 1280억원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입자 기반이 지속 감소하면서 매출이 줄고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위성방송인 케이티스카이라이프(053210)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별도기준 매출이 지난해 3·4분기 각각 1700억원대에 그쳤고, 1분기에는 1696억원으로 축소됐습니다. 
 
IPTV도 성장세는 꺾였습니다. KT(030200)의 가입자는 940만명대에서 정체하고 있습니다. 1분기 미디어 매출은 519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증가에 그쳤습니다. SK브로드밴드의 1분기 유료방송 매출은 4780억원으로 0.4% 늘었고, LG유플러스(032640)는 IPTV 매출이 33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습니다. 매출 증가폭이 적거나 감소세에 놓인 형국입니다. 
 
유료방송 시청 화면. (사진=뉴스토마토)
 
OTT 이용자들이 늘어나면서 유료방송 영향력이 약해진 결과입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OTT 관련 주요 현황 및 방송시장 영향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구독형 OTT 월간 사용자는 3458만명으로 유료방송 가입자와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유료방송업계 관계자는 "OTT 중심의 방송콘텐츠 시청이 활성화되는 등 시장은 변화했다"면서 "방송광고, 이용약관 등 방송법과 IPTV법상 규제가 여전한 유료방송과 달리 OTT에 대한 규제는 미비해 동일한 경쟁이 힘든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에 유료방송업계는 국회에 여러 차례 규제 완화 목소리를 개진하고 있습니다. 이달 들어서만 국민의힘 정책총괄본부 ICT방송본부장을 맡고 있는 김장겸 의원과 만나 정책제안서를 전달했고, 28일에는 민주당 방송콘텐츠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훈기 의원을 만나 정책협약식을 가졌습니다. 각개 전투가 아닌 업계가 공동을 만나 목소리를 키우는 데도 힘주고 있습니다. 
 
 
한국IPTV방송협회는 방송시장 전반의 규제 최소화를 강조하면서 방송통신발전기금(방발기금) 분담 대상 사업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현재 방발기금 대상 사업자들은 방송매출의 1.5%를 내고 있는데요. 기존 방송사업자 대신 OTT, 포털, 종합방송채널사용사업자(MPP)를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이들에게도 방송통신발전의 책무를 부과, 방발기금 분담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이밖에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시의성 있게 제공할 수 있도록 요금과 약관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냈습니다. 
 
케이블TV방송협회는 지역 방송·미디어가 지역과 가장 가까운 생활 기반 매체로서 공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면서, 지역채널 커머스 방송의 법제화와 부관조건 완화, 지역 기반 방송영상콘텐츠 제작 지원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방송·광고 심의 시스템의 유연한 운영도 요청 사항 중 하나입니다. 특히 IPTV업계와 마찬가지로 방발기금의 형평성 확보 또한 언급했는데요. 지역채널 투자에 따른 감면, 공공 기여도를 반영한 평가제 도입, OTT와 포털에 대한 기금 부과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