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보루 '아이 학원비'도 줄였다…실질소비 3분기째 '후퇴'
'민생쿠폰 추경' 홀로 떠받친 실질소득
근로·사업소득, 물가 반영 땐 '마이너스'
2025-11-27 18:21:34 2025-11-27 18:21:34
[뉴스토마토 유지웅 기자] 가계가 좀처럼 손대지 않던 교육비까지 줄이기 시작했습니다. '물가를 반영한 소득'(실질소득)이 제자리 수준에 머물면서 소비 여력이 더욱 약해진 모습입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플러스의 이면…'이전소득'만 늘었다
 
국가데이터처가 27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43만9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3.5% 증가했습니다. 
 
소득은 9분기 연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근로소득 336만7000원(1.1%↑), 사업소득 98만9000원(0.2%↑), 이전소득은 92만3000원(17.7%↑) 등입니다. 이전소득은 생산활동과 무관하게 무상으로 지급받는 돈으로, 민생회복소비쿠폰이 대표적입니다.
 
그러나 '물가'를 반영한 실질 기준에서는 흐름이 달랐습니다. 소득 증가율은 1.5%에 그쳤고, 소비지출은 0.7% 감소했습니다. 가계의 구매력은 오히려 약해졌다는 평가입니다.
 
1.5%라는 실질소득 증가율마저도 사실상의 동력은 '이전소득'이었습니다. 이번 실질 이전소득 증가폭은 15.5%로, 코로나19 손실보전금이 지급됐던 2022년 2분기(37.5%) 이후 13분기 만에 가장 컸습니다.
 
반면 이전소득을 제외하면, 실질 근로소득(-0.8%)·사업소득(-1.7%)·재산소득(-2.7%)은 모두 감소했습니다. 생산활동으로 벌어들이는 소득이 모두 줄어든 가운데, 이전소득만이 실질소득을 떠받친 구조입니다. 
 
실질 근로소득·사업소득은 2분기 연속 마이너스입니다. 근로소득은 0.8% 줄면서 2분기(-0.5%)보다 감소폭이 커졌습니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소득 증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으로 공적 이전소득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 컸다"며 "실질 근로소득은 사업체 임금 상승률이 높지 않아 감소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행정복지센터에서 시민들이 소비쿠폰을 신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쿠폰 외식 늘어도…실질소비는 '마이너스'
 
실질 소비지출은 지난 1분기(-0.7%), 2분기(-1.2%)에 이어 3분기(-0.7%)까지 3개 분기 연속 줄었습니다. 소비 회복 흐름이 여전히 살아나지 못한 모습입니다. 
 
이 흐름은 세부 항목에서도 확인됩니다. 교육 지출은 학원·보습교육(-4.5%), 정규교육(-7.6%) 등을 중심으로 6.3% 감소했습니다. 교육비의 경우 다른 지출에 비해 장기적인 계획하에 쓰여서, 경기 하강기에도 쉽게 줄지 않는 항목으로 꼽힙니다.
 
그 교육비가 올해 6% 넘게 감소했다는 점은 그만큼 가계 여력이 약해졌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학령인구 감소와 지난해 교육비 지출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점을 고려하더라도, 올해 감소 폭은 그보다 더 큰 수준입니다.  
 
품목별로는 △음식.숙박(4.1%) △기타상품.서비스(6.1%) △교통.운송(4.4%) 등은 증가했고 △교육(6.3%) △오락.문화(6.1%) △식료품.비주류음료(1.2%) 등은 감소했습니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소비쿠폰 지급으로 외식비 등은 늘었지만, 올해 추석이 10월에 있어 지난해보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줄었다"며 "고물가 영향으로 실질 소비지출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평균소비성향은 전년보다 2.2%포인트 하락한 67.2%로 조사됐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때도 공적 이전소득이 급증하면서 소비성향이 떨어지는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소비성향은 '소득 대비 소비 비중'이어서 일시적으로 소득이 크게 늘면, 실제 소비가 그대로이거나 소폭만 늘어도 비중이 자동으로 낮아지는 구조입니다. 다만 평균소비성향이 5분기 연속 하락하면서 소비 둔화는 구조적으로 이어지는 추세입니다. 
 
한편, 소득분배지표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격차를 나타내는 지표인 '균등화 처분 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03배로 작년 같은 분기(5.69배)보다 낮아졌습니다. 2020년 2분기(5.03배) 이후로 5년여 만에 가장 낮은 값입니다. 
 
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