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주민역량 강화한 ‘서울형 도시재생’ 2단계 돌입
주민역량 강화 ‘준비단계’ 첫 도입…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착수
2016-01-21 13:15:37 2016-01-21 13:15:49
서울시가 도시재생활성화 사업 2단계부터 주민 역량 강화를 위한 ‘준비단계’를 도입, ‘서울형 도시재생’에 완성도를 높인다.
 
21일 시에 따르면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되면 계획~실행 전 과정에 주민 중심으로 지역 정체성에 걸맞는 맞춤형 도시재생을 진행하며, 마중물사업에 4~5년에 걸쳐 100억~500억원 공공지원을 받는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자체장이 지정, 선정된 지역은 지역별 구체적 실행방안을 담은 계획을 수립·실행·자력재생단계를 밟는다.
 
시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에 앞서 약 1년간의 ‘사전 준비단계’를 도입, 공모부터 지정까지 약 1년간 주민들의 공동체활동 역량 기반과 생태계 조성을 선행해 주민 자생력을 기른다.
 
대상지 선정은 도시재생 파급 범위에 따라 ▲경제기반형(광역차원)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도심활성화거점) ▲근린재생 일반형(노후 저층주거지) 3개 유형으로 구분해 이뤄진다.
 
시는 각 유형별로 차별화된 준비단계를 거쳐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2단계 지정을 추진, 주민 주도의 서울형 도시재생을 확산해 나갈 방침이다.
 
우선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은 광역 차원의 신경제거점 형성, 도심 활성화 거점으로서 잠재력을 가진 지역이 각각 대상이다.
 
유사한 개념이지만 경제기반형이 미치는 파급력에서 보다 범위가 넓다.
 
시는 자치구의 제안을 받아 심사위원회를 구성해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며, 이후 다양한 도시재생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한 시민 공모 등 공론화 과정을 거쳐 재생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계획이다.
 
시민참여로 구체화된 일부 아이디어는 활성화지역 선정과 별개로 즉시 사업을 진행해 실현함으로써 도시재생에 대한 시민참여와 공감대를 이끌어 낼 예정이다.
 
‘근린재생 일반형’은 쇠퇴했지만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주거지역 및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선정한다.
 
주민 공모를 통해 희망지 20곳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지역 의제 발굴, 공모사업 시행 등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가동한 후 주민역량이 갖춰진 대상지를 활성화지역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원활한 준비단계 추진을 위해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 중간지원조직과 지역활동가, 행정과의 민관 협치체계를 구축, 사업 초기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을 종합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공동체전문가, 지역활동가 등의 역량강화를 위해 재생활동가 100명 양성을 목표로 포럼을 구성·운영해 이들 전문가로 하여금 주민과 함께 현장 속에서 역량강화사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도시재생 ‘시민역량강화 4단계 프로세스’에 따라 올해 준비단계(공론화과정, 희망지 사업)를 거쳐 신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내년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으로 확정할 계획이다.
 
진희선 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주민의 자발적 공감대와 지역역량이 부족한 도시재생 초기단계에서 일부 어려움을 겪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활성화지역 지정 이전부터 도새재생에 대한 공감대형성 및 주민역량강화가 이뤄지면 지역 활성화도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이 21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추진방향을 설명하고 있다.사진/박용준기자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